본문 바로가기

〓주제별 신학 연구[900편]〓/현대 신학24

신학용어정리 목록가기 신학용어정리 1. 신학사조: liberalism (자유주의), neoorthodoxy(신정통주의), fundamentalism(근본주 의), neoevangelism(신복음중의), evangelism(복음주의), conservatism(보수주의), progressivism(진보주의), puritanism(청교도주의), radicalism(급진주의), calvinism(칼빈주 의), new theology(신 신학) 2. 신학체계: biblical theology(성서신학), historical theology(역사신학), systematic theology(조직신학), pratical theology(실천신학)/ homiletics(설교학), liturgics(예배학), pastoral theo.. 2021. 11. 7.
현대신학 입문서 목록가기 현대 신학의 흐름 : 자유주의 신학. 신 정통주의. 근본주의 및 최근신학으로 분류 제 1장 자유주의 신학의 태동 19세기 신학 : 1799년 슐라이에르마허의 「종교론」출판으로부터 제1차 세계대전까지의 기간 의 신학(현대주의 신학. 신 개신교 신학 칭) 독일 신학계 주도 ➡ 1920년대까지 유럽 신학계 주도 ➡ 1930년대까지 미국 신학계를 주도했다. 1. 자유주의 신학의 사상적 배경 1. 계몽주의 버나드 램 교수는 계몽주의가 현대 정신과 신학에 미친 영향으로 일곱가지 지적 역사주의 : 객관적이고 정확한 역사적 사실만을 진리로 인정하려는 사상. 이것은 성서의 역사적 자료에 대한 신뢰성과 사실성에 대해 문제를 제기 과학과 기술의 발전이 자유주의의 발생을 촉진 시켰다. 이것들은 사회. 윤리 및 영적 .. 2021. 11. 7.
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Wolfhart Pannenberg) 신학 / 합신대 정승원교수 목록가기 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Wolfhart Pannenberg) 신학 신학자료실|2008/04/12 http://blog.paran.com/mokpojsk/25527433 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Wolfhart Pannenberg) 신학정승원 합동신학대학교수의 현대신학해설 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Wolfhart Pannenberg) 바르트 以後 신학계에 그와 견줄만한 학자는 판넨베르크 외에는 없다고 이야기들 한다.그의 신학의 독창성과 깊이에 따른 칭찬의 소리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역사적 사실의 중요성(예를 들어, 부활의 역사성)이나 보편적 진리의 탐구를 강조하는 그의 신학적 방법 때문인지 보수 신학계에서도 그를 환영하는 편이다. 그러나 한편 그의 신학에 매우 위험한 요소들이 숨어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될.. 2021. 11. 7.
판넨버그 몰트만의 만유재신론적 신학 (Panentheistic Theology) 목록가기 판넨버그 몰트만의 만유재신론적 신학 (Panentheistic Theology)*이 글은 총 4차에 걸쳐서 개혁신문 2002년 9월 7일~28일자(485~488호)에 실린 글입니다. *신문의 특성상 각주가 생략되어 있음을 양지해 주시기 바랍니다. 몰트만의 만유재신론적 신학 (Panentheistic Theology) 1. 서론 : 몰트만 신학의 기본적 특징 현대 신학의 물줄기는 하나님의 내재성을 강조하느냐 초월성을 강조하느냐의 기로에 서 있다고 볼 수 있다. 한쪽에 대한 과대한 강조는 현대 사회 인식에 있어서 잘못된 편견을 갖게 만든다. 하나님의 내재성에 대한 지나친 강조는 신학을 특정 문화속에 갇히도록 만들 수 있으며, 하나님의 초월성에 대한 지나친 강조는 문화적 상황을 무시하도록 만들 수 있.. 2021. 11. 7.
현대 신학의 배경 목록가기 현대 신학의 배경 (1) 정승원 목사/ 예손교회, 합동신학대학 교수(조직신학)현대신학의 학문적, 사회적 배경으로 우리는 17세기 말에서 시작해서 한세기동안 유럽을 휩쓸었던 계몽주의 (Enlightenment)를 들 수 있다. 계몽주의는 인간의 것이 들어갈 여지가 없었던 교회(구․신교)의 통치와 권위로부터 나와 인간의 것으로 깨우쳐진(enlightened) 것을 의미한다 하겠다. 이것은 하나님이 중심이었던 세계관이 인간 중심으로 바뀌었음을 의미한다. 인간의 지적, 도덕적 능력이 높게 평가되기 시작했고, 상대적으로 교회의 권위가 축소되기 시작했다. 이것을 달리 표현하면 인간의 이성이 계시를 대신하였고 자연주(naturalism)가 초자연주의(supernaturalism)를 대신했다는 것이며, 교회의.. 2021. 11. 7.
현대신학의 위기와 개혁신학 목록가기 현대신학의 위기와 개혁신학 권용국 머리말 현대신학은 신학적 위기에 직면해 있다. 바르트를 대표로 해서 불트만, 틸리히에 이르기까지 변증법 신학은 하나님의 계시를 다시 신학의 주제로 삼았다는 점에서 현대신학에 큰 공을 세웠다. 그러나 바르트의 계시신학은 「로마서」2판에서는 키에르케고르의 변증법적 사고에 강하게 영향 받으면서 초절주의로 나아가고 있으며, 「교회교의학」에서는 극단한 기독론적 계시론적 착상에 의해서 보편화해론의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불트만의 변증법적 신학도 바르트의 계시신학적 착상에 의해서 강하게 영향받고 케리그마를 신학적 주제로 삼았으나, 하이데거의 실존철학을 신약성경 해석의 방법론으로 차용하면서 신약성경의 케리그마를 실존론적 의미성으로 평가 절하시키고 있다. 틸리히의 문화신학은 .. 2021. 11. 7.
현대신학 목록가기 현대신학 ◎제1부 : 슐라이어마흐 제1장 서론 제2장 슐라이어마흐의 삶과 그의 경력 제3장 계몽주의에 대한 슐라이어마흐의 반응 제4장 신학적 방법 제5장 교리적 헌신 제6장 평가 및 결론 ◎제2부 : 리츨 제1장 서론 제2장 고전적 자유주의 제3장 알브레히트 리츨의 삶과 경력 제4장 리츨의 신학적 방법 제5장 평가 ◎제3부 : 아돌프 하르낙 ◎제4부 : 월터 라우셴부시 ⊙. 참고문헌 제1부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흐 Friedrich Schleiemacher, 1768-1834 종교적 감정 안에 내재하시는 하나님 제1장 서론 19세기 신학자들은 인간 생활 안에 종교라는 어떤 특정의 자리를 정함으로써 계몽 사상에 의해 초래되었던 곤경을 넘어서고자 했으며, 또한 그 결과로 초월성과 내재성 사이의 새로운.. 2021. 11. 7.
현대신학을 어떻게 공부할 것인가? / 이상직(호서대) 목록가기 현대신학을 어떻게 공부할 것인가? / 이상직(호서대) 현대신학을 어떻게 공부할 것인가? / 이상직 교수(호서대) 현대신학은 조직신학, 교회신학, 성서신학, 실천신학등 여러 분야에서 접근할 수 있는 학문이다. 이 글은 조직신학적 입장에서 현대신학을 접근하였다. 그런데 현대라는 특수성은 이들 분야가 엄밀하게 구분되는 것을 어렵게 한다. 현대에 대한 역사적 평가는 아직 시기적으로 이르며, 교회사학의 한 분야인 교리사는 결국 조직신학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조직신학이 이론 뿐만 아니라 실천을 강조하는 추세에 있음으로 실천신학적인 관심을 고려하여야 하며, 성서의 현대적 의미를 강조하는 성서학자들이 점중하는 추세를 감안할 때 이들 분야들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Ⅰ. 현대신학의 공부 .. 2021. 11. 7.
현대신학 특강 정리 (이승구 교수) 목록가기 현대신학 특강 정리 -― 20세기의 신학을 어떻게 볼 것인가? ― 1999년 7월 16일 발 표 자 이승구 교수1) 강의정리 권우강 목사2) Ⅰ. 강의 정리자의 변 Ⅱ. 몇 가지 안내 서적 Ⅲ. 20세기 신학의 동향들 1. 20세기 신학의 배경으로서의 19세기 신학의 특성: 내재주의 2. 20세기 신학의 출발점 : Barth, Romans (1919, 1922) 3. 50년대 말까지의 신학의 거장들 4. 좌파 바르트주의자들의 신학 (Left- wing Barthian Theology) 5. 우파 바르트주의자들의 신학 (Right-wing Barthian Theology) 6. 새로운 십자가의 신학 (New "Theology of the Cross“) 7. 다양한 해방신학들 8. 새로운 형태를 추.. 2021. 11. 7.
현대신학 / 서철원 교수 목록가기 현대신학 - 서철원 교수 - 제1강 (2002년 3월 12일) 현대신학은 통상 20세기라는 시간적 공간에서 일어난 토론을 말한다. 이것은 정통신학이 아니라 자유주의, 신정통주의 신학이 주를 이루는 신학이다. 이 강의는 두가지 목적을 두고 있다. 첫째, 현대신학이 기독교가 아니라는 것을 밝히는 것이며, 둘째, 여러분들이 새로운 신학을 만날 때 그것을 식별해 내도록 하는데 있다. 현대신학은 새것이라서 재미는 있을 줄 몰라도 그것은 기독교가 아니라는 말이다. 이것은 교회를 교회되지 못하게 하는 신학이다. 독일을 가보라. 이것이 살아있는 교회인가 죽어있는 교회인가를 판별하고 나면 알게 될 것이다. 현대신학의 문제점, 특히 배우는 학생들의 문제점이 무엇이냐면, 일찍부터 신앙을 가지고 그렇게 자라면 그 표.. 2021. 11. 7.
현대신학의 흐름 / 제1장 유럽 신학 목록가기 현대신학의 흐름 제 1장 유럽 신학 Ⅰ. 19세기 신학 1. 18세기 배경 19세기 초기 신학자들의 신학사상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18세기에 일어난 신학적 사상운동을 고찰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18세기를 지배한 사상운동은 크게 경건주의(Pietism)와 합리주의(Rstionalism) 두 가지로 열거 할 수 있다. (1) 경건주의 1648년 30년 전쟁이 끝날 무렵 독일의 신교에서 어려운 처지에 놓이게 되었다. 루터파 교회는 외부적으로 정부의 행전적 관섭과 함께 내부적으로는 죽은 정통주의라고 할만큼 생활과 상관없이 지적인 수납으로 성경 위에 교리를 강조하는 교조주의가 지배하였다. 이런 배경아래 독일에서 참신한 영적 각성운동과 경건생활을 강조하며 평신도 위주의 형태로 경건주의가 일어났다. 18세기.. 2021. 11. 7.
현대신학의 흐름 / 제2장 미국 신학 목록가기 현대신학의 흐름 제 2 장 미국 신학 Ⅰ. 개혁주의 신학 1. 프린스톤 신학 개혁주의 신학은 16세기 제네바에서 존 칼빈에 의하여 크게 두 가지 갈래로 발전한다. 1) 먼저 유럽대륙에서 화란 개혁교회의 아브라함 카이퍼와 헤르만 바빙크가 대표적이다. 미국이민자들은 미시간주 칼빈 신학교에서 그 신학적 전통을 계승하였다. 2) 또 한 편으로 영국으로 건너간 개혁주의 신학은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을 바탕으로 널리 확산되었고 다시 미국 이민자들을 통하여 1706년에 미국 장로 교회 첫 노회를 설립해서 1812년에 프린스톤 신학을 설립하여 미국 교회 교계에서 주도적 역할을 하였다. 프린스톤 신학의 영향은 미국 사회적인면에서도 지대한 영향력을 미쳤으며, 또 19세기 미국 문화형성에 프린스톤 신학자들의 공헌을 .. 2021. 11. 7.
현대신학의 흐름 / 제3장 비구미 신학 목록가기 현대신학의 흐름 제 3 장 비구미 신학 Ⅰ. 해방신학 남미의 특수적 상황을 배경으로 정치, 경제의 비판적 인식을 골자로 한 정치적 구조와 사회악을 신학적으로 대처한 남미의 신학이다. 이 신학은 빈부의 격차와 정치적 억압을 없애고 현실적 자유와 해방을 강조하여 신학의 현실적 기여를 강조한다. 1. 직접적 배경 해방신학은 시기적으로 볼 때 후기 에큐메니칼 신학이다. 공산주의 마르크스 사상을 옹호하는 가운데 몰트만, 리차드 쇼울 등을 비롯한 신학자들이 혁명 가운데 역사하시는 혁명의 신학을 제창하였다. 이 몰트만의 연설문이 라틴 아메리카에 재빨리 문서로 소개되면서 진일보한 혁명신학이 논의되었다. 1970년대 초에 해방신학의 붐이 남미의 신학자들에 의하여 일기 시작한다. 구스타브 구티에레즈, 세군도, 휴.. 2021. 11. 7.
현대신학의 흐름 / 제4장 현대신학의 도전 목록가기 현대신학의 흐름 제 4 장 현대신학의 도전 Ⅰ. 자유주의 신학의 도전(한국 장로교회를 중심으로) 1. 보수주의 신학의 정립 한국 교회는 보수주의 신앙을 바탕으로 한 선교사들에 의하여 자라왔다. 특히 한국의 장로교회는 미국에서 파송된 선교사들의 신학적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았다. 초대 선교사 윌리엄 헌트는 1889년 이미 북장로 선교사 중에 성경 유오설을 말하는 한 사람의 선교사로 평양 신학교 설립자 마포삼열로 지적한다. 당대 유일한 장로교 신학교였던 평양 신학교는 복음적 성격위에서 기독교의 근본 진리와 신조를 철저히 가르칠 것을 주안점으로 한다. 이러한 보수신학의 입장은 그 다음 세대의 선교사들에게도 그대로 이어졌다. 선배 선교사들이 뿌린 신앙을 따라 일제 말엽, 신앙탄압의 시기에 한부선(Bruc.. 2021. 11. 4.
비신화화 논쟁 - 목창균 교수 목록가기 비신화화 논쟁 목창균 / 서울신대 교수 1.들머리 루돌프 불트만(Rudolf Bultmann)은 당대 제일의 신약성서학자로서 현대 신학의 형성과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끼쳐온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오그덴(Schubet M. Ogden)에 따르면, 불트만의 공헌은 어떤 기준에 의해 판단되든지 간에 과소 평가될 수 없으며, 그의 신학은 20세기 개신교 신학의 흐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불트만이 평생의 과제로 삼았던 신학적 관심사는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이 현대인에게 어떻게 해석되고 전달되어야 하는가였다. 불트만은 두가지 접근방법을 통해 이 과제를 수행하고자 했다. 신약성서의 비신화화(非神話化)와 실존론적 분석이 그것이다. 그들은 이 문제에 대한 불트만의 분석인 동시에 해결책이었다. 전자가 소극적.. 2021. 11. 4.
현대신학의 비신화적 경향을 우려한다 목록가기 현대신학의 비신화적 경향을 우려한다 / 홍성철 목사 http://www.kscoramdeo.com/news/read.php?idxno=3795&rsec=MAIN 서론 현대신학의 신학적 경향 중의 하나는 영적 실체를 비인격적 존재로 사회구조로, 사회 현상으로, 그리고 분위기로 이해하려는 경향이 있어왔다. 이런 경향은 성경 번역에서도 나타난다(개역개정판): 내가 확신하노니 사망이나 생명이나 천사들이나 권세자들이나 현재 일이나 장래 일이나 능력이나 (롬 8:38) 여기에서 권세자들은 사람이다. 영적 존재가 아니라고 표기하고 있다. 모든 통치와 권세와 능력과 주권과 이 세상뿐 아니라 오는 세상에 일컫는 모든 이름 위에 뛰어나게 하시고(엡 1:21) 에베소서에서도 통치와 권세는 영적인 존재인데 사람으로 .. 2021. 11. 4.
루돌프 불트만(Rudolf Bultmann) 목록가기 Rudolf Bultmann Rudolf Bultmann(1884-1976)은 1950년대에 세계적으로 신학적인 영향을 가장 많이 끼친 신학자 가운데 한 사람이다. 그는 1886년 독일의 Oldenburg에서 태어나 Marbug 대학에서 1951년에 은퇴할 때까지 주로 신약 신학을 가르쳤다. 1941년에 그는 [Offenbarung und Heilsgeschehen]이란 저서를 출판하여 그의 명성이 널리 퍼지기 시작했다. 그 책 속에는 "Die Frage der naturlichen Offenbarung"이란 논문과 Neues Testment und Mythologie"라는 논문이 포함되었다. 특히 후자의 논문이 신학계의 선풍적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이 논문은 Barth의 [로마서 주석]이 제1.. 2021. 11. 2.
반(反)유신론적 이론 / 찰스 하지의 조직신학에서 부분 발췌 | 목록가기 제3장 반(反)유신론적 이론 찰스 하지의 조직신학에서 부분 발췌 (307~412p) 1. 반유신론이란 무엇인가 유신론은 만물의 창조주, 보존자, 그리고 통치자이신 우주 밖에 계시는 인격적 하나님에 관한 교리이기 때문에, 이런 존재의 실재를 부정하는 교리는 모두 반 유신론이다. 그러므로 공인된 무신론뿐아니라 다신론, 물활론, 유물론, 그리고 범신론도 반 유신론적 이론의 부류에 속한다. 2. 다신론(생략) 3. 물활론(생략) 4. 유물론 유물론은 물질과 정신 사이의 차이를 무시하고, 물리적이거나 생명적이거나 또는 정신적인 세상의 모든 현상들을 물질의 기능으로 간주하는 것이다. ....중략.... F. 논박 현대적 형태의 유물론은 그 이론에 본질적인 모든 것을 보면, 1천년 전의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2021. 11. 2.
현대 조직신학의 동향 목록가기 현대 조직신학의 동향 현대 신학자들의 관심은 객관성보다 주관성, 성경 자체의 권위보다 성경의 기능 곧 인간에게 주어지는 의미로 옮겨왔다 신론, 인간론, 기독론, 구원론 등에서 정통신앙을 떠나온 현대신학 현대신학은 더욱 다양해졌고 여러 갈래이며 파편도 많다. 몇 가지 틀에 분류하여 설명하는 것은 벅차다. 한 가지 말한다면 현대신학의 흐름이란 성경의 권위를 내던짐과 동시에 정통교리를 처음엔 조심스럽게, 조금 후엔 서슴없이 대범하게 떠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현상은 과거에도 있었다. 이미 오래전에 소치니(Faustus Sozzini, 1539-1604)가 합리주의적 성경 해석학을 들여왔고, 삼위일체를 부정했으며, 아리우스주의와 펠라기우스를 불러들였다. 그는 윤리를 중심에 두고, 관용, .. 2021. 11. 2.
20세기 후반 북미 개혁신학의 동향 -안토니 후크마의 신학의 특성과 그 기여를 중심으로 목록가기 20세기 후반 북미 개혁신학의 동향 -안토니 후크마의 신학의 특성과 그 기여를 중심으로 이 승 구 박 사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조직신학 교수) 제 1 부: 개요 "개혁 신학"이라는 말을 어떻게 이해하느냐에 따라서 우리의 작업의 범위가 상당히 달라지게 될 것이다. "개혁 신학"이란 말에 대해서 크게 3가지 다른 용례가 있을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그 하나는 가장 포괄적인 용례로 종교 개혁적 신학 전체를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하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16세기에 일어난 종교 개혁적 전통을 유지하는 모든 신학이 이에 포함될 것이다. 천주교 신학(Roman Catholic theology)과 동방 정교회의 신학(Greek Orthodox theology)와 대조되는 개혁파 신학, 루터파 신학, 성공회의.. 2017. 12. 26.
<책요약/정리> 안토니 후크마의 [종말론] 목록가기 후크마의 [종말론] [개혁주의 종말론] 안토니 후크마 / 류호준 옮김 / 기독교문서선교회, 2001 제1부 시작된 종말론 “종말론”이란 영어 단어는 헬라어의 두 단어(eschatos와 logos)가 합쳐져서 되었다. 이는 “마지막 일들에 관한 가르침”이란 뜻이다. 개인에 관한 문제들에 관해 종말론은 다음과 같은 주제들을 다루고 있다: 육체의 죽음, 영혼불멸성, 중간상태, 그리스도의 재림, 죽은 자들의 대부활, 최후의 심판, 최후의 상태 등이다. 성경적 종말론에는 신자의 현재적 상태와 아울러 하나님의 왕국의 “현재적” 면도 포함된다. “시작된 종말”과 “미래의 종말”을 포함한다. 여기서 “실현된 종말론”이란 용어보다 “시작된 종말론”이란 표현을 더 적합하게 생각한다. “시작된 종말”이란 의미는 종.. 2017. 12. 17.
개혁주의 인간론 / 안토니 후크마 목록가기 우리가 죄의 행위는 죄의 의지를 그 동기로 삼는다고 할 수 있겠으나 무엇이 죄의 의지의 근원이었나? 어떻게 무죄한 의지가 죄있는 자처럼 생각하기 시작할 수 있었겠는가? 어거스틴은 이점에 대해 잘 표현하고 있다. “그러므로 아무도 악한 의지의 충종한 동인을 찾으려하면 안된다. 왜냐하면 이러한 동인은 그 자체가 충족한 것이 아니라 결함된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결함들의 원인들, 다시 말하거니와 충족한 것이 아니라 결함되어 있는 원인들을 찾는 것은 마치 어두움을 보려는 것이나 침묵을 들으려는 것과 같은 것이다.” …… 간단하게 말하자면 죄는 설명되어질 수 없으며 따라서 우리는 그것을 이런 정도에 내어버려야 하는 것이다. 물론 우리 첫 조상이 죄를 범한 것이 하나님의 섭리적인 허용바깥에서 일.. 2017. 12. 16.
안소니 후크마의 신학적 기여2 목록가기 후크마 교수의 신학적 기여와 특성(2) 이 승 구 박사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조직신학 교수) 후크마는 이렇게 주해에 근거해 작업하므로써 선배 신학자들의 견해를 잘 비판하고 수정하며 보다 성경적인 견해에로 이끌어 간 경우가 많이 있다. 그러나 그의 논의는 아주 조심스럽고 다양한 논의의 가능성을 다 제시하면서 부드럽게 논의해 나가고 있다. 그 대표적인 경우가 적그리스도의 미래 실존성에 대한 베르까우어의 견해에 대한 비판이다. 베르까우어는 이렇게 말했었다: "신약에 묘사된 적그리스도가 역사의 종국에 있을 한 개인(a person)이라는 것을 신약에 근거해서 확실하게 주장할 이유가 없다." 이에 대해서 후크마는 유연하고도 간접적으로 이런 베르까우어의 입장보다는 최종적 적그리스도의 출현을 "막는 자"가 .. 2017. 12. 12.
안토니 A. 후크마, 그리스도의 재림과 천년왕국(1) (무천년설적 입장)| 목록가기 요한계시록 20장 1-6절의 해석: 무천년설의 입장 Amillennialism (Anthony A. Hoekema) 이 글은 칼빈 신학대학원(Calvin Theological Seminary)에서 조직신학 교수를 역임한 안토니 A. 호에케마(Anthony A. Hoekema)가 [무천년설]의 입장에서 요한계시록 20장 1-6절에 관한 "해석법의 문제"를 다룬 글이다.[Anthony A. Hoekema, "Amillennialism," The Meaning of the Millennium: Four Views(Downers Grove, Illinois: InterVarsity Press, 1977). Edited by Robert G. Clouse. pp. 155-187.] 천년왕국설에 관한 무천.. 2017. 12.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