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제별 신학 연구[900편]〓/성경 해석학42

바울신학 제20강 (김세윤 교수) 목록가기 바울신학 제20강 지난 시간까지 ‘예수가 하나님 형상이다’-I=εικων του θεου-는 인식을 바울이 다메섹 도상에서 얻었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이 인식은 훈련받은 신학자 바울로 하여금 즉각 두가지를 예수와 더불어 생각할 수 밖에 없다. 하나는 ‘예수가 하나님의 지혜이다’왜 그러냐면 지혜문서에 가령 wisdom of solomon 7:26에 지혜가 하나님의 형상이다고 되어 있다. 그리고 Philo의 책 여러 곳에도 지혜가 하나님 형상이라고 한다. 지혜가 하나님 형상이라고 할 때 지혜가 하나님의 계시자라는 뜻이다. 하나님을 보여주는 자라는 말이다. 지난번에 ‘하나님 아들’을 볼때 지혜가 하나님의 속성인데 점차 독립적인 개체로 인격화한다고 했다. 이것의 논리 구조와 이러한 신학적인 의도를 지난.. 2021. 11. 12.
유대인의 성경해석 / 정규철 목사 | 목록가기 오늘날 이 지구상에서 유대인을 누가 무시할 수 있을까? 과연 누가 객관적으로 유대인들을 무시할 수 있을까? 2000여 년간이나 나라 없이 떠돌던 유대인들은 지금 이 세상에서 아무도 무시 못 할 실력과 경제력을 소유한 민족이 되었다. 우리가 이러한 유대인의 성경해석을 살펴야 하는 이유는 일단 성경해석에 있어서 유대인의 성경해석의 역사가 가장 오래되었기 때문이다. 성경해석의 역사에 유대인보다 앞선 것은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어떤 면에서 유대인의 저력은 성경해석의 능력에 있다고 해도 사실과 다르지 않을 것이다. 그렇다면 유대인의 성경해석의 핵심은 무엇일까? 우리는 유대인의 성경해석의 핵심은 탈무드의 이해에 있다고 보고 탈무드에 주목할 것이다. 왜냐하면 탈무드는 유대인의 구약성경해석이기 때.. 2021. 11. 12.
성경해석학 서론 / 정규철 목사 | 목록가기 성경해석학(hermeneutica)이라는 말이 처음 사용된 곳은 슈트라스부르크(Straßburg) 출신의 단하우어 (Johann Konrad Dannhauser, 1603-66)가 1654년에 출판한 「성경주석의 방법으로서의 성경해석학」 (Hermeneutica Sacra sive Methodus Exponendarum Sacrum Literarum)이다. 이 저서의 제목이 암시하고 있듯이, 해석학은 17세기부터 문헌해석의 규칙이나 방법에 관한 학으로 규정되고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해석학은 어떤 문헌을 실재로 해석하는 작업을 넘어서 실제의 해석 활동을 지배하는 규칙이나 방법을 세우는 일이다. 이 용어는 특정한 텍스트(Text)를 위한 해석을 보조하거나 해석의 여러 가지 규칙을 확정하는 신학이나.. 2021. 11. 12.
역사비평 신학은 과학인가 의견인가? II | 목록가기 IX. 역사비평학은 원칙상 과학적으로 신뢰할만 하고, 객관적인 성경해석을 통해 복음전파에 일조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라고 그들은 생각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그들이 의도하는 것과 현실 사이에는 엄청난 괴리가 있다. 지금까지 고찰한 바에 의하면, 하나님 말씀이 그러한 식으로 취급이 된다면 복음전파에 일조를 하는 것이 아니라, 비록 복음 전파를 가로막지는 않는다손 치더라도 오히려 방해가 되는 것이 명백하다. 또한 그들이 생각하는 대로 성서해석에 관한한 객관성과 과학적인 신뢰성이 주어지는 것이 아니다. 주관적인 생각을 배제하고 여러가지 논거들을 심사숙고하여 논리적으로 진리를 찾아낸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1. 이론과 실제, 그리고 이상과 현실의 모순은 벌써 관계문헌을 다룰 때 나타난다. 이론상으로는 역사비.. 2021. 11. 12.
역사비평 신학은 과학인가 의견인가? i 목록가기 역사비평 신학은 과학인가 의견인가? Eta Linnemann 에타 린네만의 저서 „역사비평 신학은 과학인가 의견인가“를 일부 발췌하여 소개한다. 린네만은 브라운쉬바이크 대학의 신학교수가 였고, 저명한 신약연구협회(Society for New Testament Studies)의 회원이였다. 그녀는 불트만의 제자였고 그녀가 회심하기 전에 내어놓은 „예수의 비유“는 신학계의 베스트 셀러였고, 당연히 철저한 역사 비평가였다. 그러나 교수로서 최고의 명성을 누릴 나이인 50세경에 회심을 하여 자신이 저술한 책 두 권을 자기 손으로 쓰레기 통에 버렸고, 교수직을 사임하고 역사비평 신학을 비평하는 사람이 되었다. 예수님의 말씀을 전하기 위해 다년간 인도네시아에서 선교사로도 활동하였다. 그녀는 성경이 모두 하.. 2021. 11. 12.
성경비평학은 과학인가 조작인가 (에타 린네만) 목록가기 1. 진화로서의 역사 레싱(Lessing)은 그의 역사 이해를 통해서 역사비평 신학의 기초를 놓았다. 그에 따르면, 복음서 기자들은 하나님과 관계없이 순수한 인간적인 역사를 썼다. 역사 안에서의 하나님의 계시는 성경의 영감설과 마찬가지로 부인되었다. 이것이 역사비평 신학에 의하면, ‘진정한 과학적 연구의 시작’인 것이다. 성경은 이미 지나가 버린 기술이 발달하지 못한, 당시 옛날의 척도를 가진 사람들이 당시의 독자들을 위해 쓰여졌으므로 이제는 비판을 받아야 하는 책이 되었다. 레싱의 정의에 따르면, 계시를 통하여 하나님과의 관계가 맺어지는 것이 아니다. 계시는 이점이 있는 것이지만 포기할 수도 있는 것이다. 오늘 날에는 성경은 단지 고전에 불과하며 현대인에게는 별 의미가 없다고 말하는 사람은 그.. 2021. 11. 12.
Ⅰ. 개혁주의 성경해석 원리/신원균 교수 목록가기 Ⅰ. 개혁주의 성경해석 원리 한마음개혁교회 신원균 목사 들어가는 말 개혁주의에 기초한 구약성경 요약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먼저 개혁교회에서 사용하는 성경해석원리를 이해해야 한다. 개혁교회는 개인의 지나친 주관적 해석이나 로마카톨릭처럼 성경을 벗어나 교단의 율법적 규범에 따라 해석하는 것을 피하고 성령의 은혜를 따라 성경은 성경 그 자체로 해석한다는 중요한 해석규범을 가지고 있다. 각 교파마다 신학적 입장에 따라서 성경을 해석하는 방법에 많은 차이를 나타낸다. 즉 어떤 주제와 어떤 교리를 중심으로 보는가에 따라서 구약과 신약의 방향과 목적이 달라진다. 따라서 성경요약을 소개하기 앞서서 현대에 잘못 사용되고 있는 성경해석원리를 몇 가지 소개한 다음 칼빈과 보수주의자들이 주로 사용했던 개혁주의 성경주석.. 2021. 11. 12.
Muller의 종교개혁 해석학 이해 / 한병수 교수 목록가기 Muller의 종교개혁 해석학 이해 Biblical Interpretation in the Era of the Reformation (Grand Rapids: Eerdmans, 1996), 3-22. 성경 해석학에 있어서 중세와 르네상스, 종교개혁, 그리고 후기 종교개혁 사이를 선명하게 구분하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작업이다. 종교개혁 시대의 성경 해석학을 탐구하는 스타인메츠의 열 가지 주장은 다음과 같다. 1. 성경 텍스트의 의미는 저자의 원래 의도에 의해서 다 파헤쳐 지는 것은 아니다. 2. 성경적 전통의 가장 원시적인 의미가 필연적으로 가장 신뢰할 만한 것은 아니다. 3. 교회를 위한 구약의 중요성은 하나님의 백성의 역사상의 연속성에 기초를 두고 있으며 그 연속성은 이스라엘 민족과 교회의 불.. 2021. 11. 12.
게르하르트 마이어 박사의 <<성경 해석학>> 목록가기 1. 도서 소개 왜 이 시대에 마이어 박사의 성경해석학이 절실히 필요한가? 첫째, 기독교 신학에 있어서 성경해석 방법론의 중요성이 간과되고 있기 때문이다. 현대 신학의 역사비평적 방법론은 무신론적 철학의 전제들을 기반으로 삼으며 반(反)초자연적이고 진화론적인 역사관 위에서 민속 문학의 이론을 성경에 적용시켜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해석자가 이 방법론을 따른다면 그 방법이 선택하는 길로 나아가게 될 것이다. 둘째, 오늘날 개혁주의나 복음주의를 표방하는 한국의 대다수 신학교와 교단들이 역사비평적 방법론을 부분적으로 채택하고 있는 모순에 빠져 있기 때문이다. 국내의 복음주의 신학자들이 자유주의자들의 성경관을 거부하고 역사비평적 방법론의 근본 오류와 한계에 대해서도 모두 공감하고 비판한다. 그럼에도 그.. 2021. 11. 12.
해석학 관련도서목록 | 김웅기 교수 목록가기 성경해석학 관련 도서목록 -Hermeneutics and Exegesis- 김웅기 개론 및 총론 ◎ 구약과 신약의 관계 D. L. Baker. 구속사적 성경해석학 : 구약과 신약의 관계. 오광만 옮김. 엠마오. 1989. 제임스 H 챨스워스, 월터 P 웨버 공동편저, 구약성서와 신약성서-그 관계와 신구약 중간기 문헌, 나채운 예영수 옮김, 장신대출판부, 1996. 게하르드 하젤, 구약신학 : 현대논쟁의 기본 이슈들. 김정우 옮김, 엠마오, 1997. G. F. 하젤, 현대신약신학의 동향, 장 상 역, 대한기독교출판사, 1982. IVP성경신학사전, IVP, 2004. ◎ 입문서(안내서) 김경신 편역, 구약이해의 길잡이, 솔로몬, 1991. 이연길, 이야기식 성경공부방법, 한국장로교출판사, 199.. 2021. 11. 12.
신학도를 위한 칼빈의 해석학 | 안명준 교수 목록가기 서론 이 시대의 신학도들은 다원화되고 변화가 급격한 첨단 디지털 시대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이런 변화의 소용돌이 속에서 불확실한 미래 시대를 어떻게 맞이해야 하는가에 대한 깊은 고민을 할 것이다. 그래서 필자는 그 대답의 하나로 칼빈이 사용했던 성경의 해석 원리를 소개함으로써 그 준비를 돕고자 한다. 1517년 10월 31일 루터에 의해 시작된 종교개혁은 기독교의 역사뿐만이 아니라 세속사까지 엄청난 영향을 준 신앙운동이었다. 이런 획기적인 사건을 일으킬 수 있었던 원동력이 무엇인가를 생각해 볼 때 여러 가지 요소들을 발견할 수 있겠지만 우리는 그 중에서도 가장 핵심적인 것으로 종교개혁의 주체들이었던 루터(1)나 츠빙글리(2) 그리고 부써와 칼빈과(3)같은 개혁자들이 성경을 새롭게 올바르게 해석.. 2021. 11. 12.
성경 해석이 시대상황에 따라 변하는가?/박신 교수 목록가기 성경 해석이 시대상황에 따라 변하는가? [질문] 한 지성적이고 회의적인 미국인 대학생 친구가 기독교인들의 외식을 지적하면서 "너는 성경의 모든 구절을 하나님의 말씀이라고 믿느냐?"라고 제게 물었습니다. 이 친구는 성경이 하나님의 영감으로 인간 저자들에 의해 쓰여진 책이라고 옳게 이해하고 있었습니다. 제가 그렇다고 하니까, "그럼 왜 너는 어떤 구절은 고집스럽게 믿으며 그 구절로 사람들을(예를 들면 동성연애자들) 정죄할 때 쓰면서, 왜 어떤 구절은 지키지 않느냐?"며 바로 그것이 외식이라고 지적하더군요. 그가 예로 제시한 구절은 (고전11:6) "If a woman does not cover her head, she should have her hair cut off; and if it is a .. 2021. 11. 12.
청교도들의 성경해석 원리와 적용 / 서창원/ 한국개혁주의 설교연구원 목록가기 청교도들의 성경해석 원리와 적용 서창원/ 한국개혁주의 설교연구원 총무 1. 이끄는 말 청교도주의 (Puitanism)는 잉글랜드의 정치적인 격변기에 순수한 신앙운동으로 이어진 성경운동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기독교 역사상‘신·구약 성경 밖에서 찾아지는 가장 성경적인 사람들’을 배출시킨 그 원동력은 그들이 붙든 성경관이었다고 볼 수 있다. 청교도들에게 있어서 성경은 이 세상이 소유한 가장 고귀한 자산이었다. 하나님을 향한 그들의 경건심은 곧 성경을 향한 경건성을 의미하였다. 하나님께 순종하는 것은 곧 성경에 순종하는 것을 뜻하였다. 그들에게 있어서 성경은 인간의 이성, 교회의 전통, 또는 신비적인 체험 위에 군림하는 최고의 신적 권위였다. 그러므로 그들은 창조주 하나님께 드리는 가장 큰 모독은 하.. 2021. 11. 12.
칼빈의 성경 해석학에 사용된 성령의 조명/안명준 교수 목록가기 칼빈의 성경 해석학에 사용된 성령의 조명 (The Illumination of the Holy Spirit Employed in Calvin's Hermeneutics) 안명준 (평택대학교, 신학과) 1. 서론 2. 성령의 역할 3. 성령의 조명의 필요성 4. 성경 해석에 있어서 성령의 조명 5. 결론 1. 서론 오늘날 현대 자유주의 신학자들에게 있어서 성령의 역사나 성령의 조명과 같은 말은 전혀 설득력을 갖지 못하는 말일 것이다. 성령은 인간의 이성을 초월해서 역사하시기 때문에 믿음이 없이는 그를 알지 못하고, 우리의 삶에서 그의 도움을 받을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그분은 살아계신 인격적인 하나님이시다. 그들은 성경과 함께 역사하시는 성령을 인식하는데 있어서 이성의 한계를 벗어나서 존재의 대.. 2021. 11. 12.
성경을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가? 존 맥아더 목록가기 성경을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가? 성경 해석학(hermeneutics)이란 신학자들이 성경 해석에 대한 학문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하는 단어다. 해석학은 모든 신학의 중추적인 기본 구성 요소다. 해석학의 임무는 본문의 의미를 그 올바른 문맥 속에서 발견하는 일, 선입견을 가지고 성경을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성경 자체에서 의미를 도출해 내는 일이다. 주의 깊은 성경적 해석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성경을 잘못 해석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성경을 믿지 않는 것보다 나을게 없다. 성경이 하나님의 최종적이고 완전한 계시라는 점에서 동의하지만 그 성경을 잘못 해석한다면 거기에 무슨 유익이 있겠는가? 결과적으로는 성경을 안 믿는 것이나 마찬가지로 하나님의 진리를 놓치게 되는 것이다. 성경이 전혀.. 2021. 11. 12.
구속사와 성경해석 / 오광만의 성경해석 목록가기 오광만 교수/ 장신신학원 교수 독자들 중에는 성경을 읽으면서 몇 가지 의문을 제기한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구약 시대에는 할례가 중요시되었지만 신약 시대에 와서는 그것이 세례로 대체되거나, 바울에 의해서는 부정적인 취급을 당한 이유가 무엇인가 하고 말입니다. 유월절과 성만찬의 관계도 그러합니다. 반면에 십계명은 아직도 건재한 실정입니다. 그렇다면 구약의 어떤 내용은 신약에 그대로 전수된 반면, 또 다른 것은 아예 폐지되거나 다른 것으로 대체된 것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며, 또 그런 현상들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요? 이런 것은 하나님께서 자신을 계시하시는 데 있어 어떤 특징이 있기 때문입니다. 성경은 하나님께서 친히 자신을 계시하신 내용을 기록한 것이므로 성경이 지니고 있는 이러한 특징을 아는 .. 2021. 11. 8.
어원연구의 허와 실 / 오광만의 성경해석 목록가기 오광만/ 장신 신학원 교수 어원 연구란 무엇인가?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 중에서 혹시 성경을 해석하시면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성경을 해석하신 적이 있거나 해석한 사람의 경우를 본 경험이 있으십니까? “죄“를 설명하면서, “‘죄‘는 한자어로 罪인데, 넉 사(四)자와 아닐 비(非)가 결합된 것으로서, 네 가지가 아닌 것이다“라든가, “‘죄‘는 헬라어로 ‘하마르티아‘(αμαρτια)인데, 그 의미는 원래 ‘과녁에서 빗나갔다‘는 의미이다. 그러므로 죄는 하나님이 요구하는 것에서 빗나가는 것을 가리킨다.“ 첫번째 경우처럼 말도 안 되는 단어 풀이가 우리 주변에서 대단히 많이 자행되고 있습니다. 두번째의 경우는 약간의 호소력이 있지만 로마서 3:23의 “모든 사람이 죄를 범하였으매 하나님의 영광에 이르지.. 2021. 11. 8.
성경 한 권 더 구입하기 / 오광만의 성경해석 1 목록가기 오광만 교수/ 장신 신학원 성경을 바르게 해석하는 것은 성경을 읽는 사람이나 성경을 가르치는 사람 모두의 바람입니다. 그런데 그것이 저절로 되지 않는다는 것이 우리를 힘들게 합니다. 성경의 의미를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 것은 물론이거니와 자기가 잘못 이해하면서도 그것이 바른 것인 양 주장함으로써 자신과 많은 사람을 오류에 빠뜨릴 수 있습니다. 이번 호부터 계속해서 성경 해석을 바르게 하는 방법을 함께 생각해 보겠습니다. 잘 인도만 받는다면 성경을 해석하는 일은 하나님의 백성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입니다. 성경을 잘 해석하는 것과 성경 한 권 더 구입하는 것과 무슨 상관이 있을까 의아해 하시는 분이 계실지 모르겠습니다. 그런데, 분명 이 둘은 상관이 있고, 그것도 많이 있습니다. 여러분들도 알고 계.. 2021. 11. 8.
성경해석학(고광필) 부록 - 현대적 접근의 문제점 2 목록가기 iv). 문법과 언어놀이(language-game) 어느 날 비트겐슈타인(Wittgenstein)은 산책하다가 축구게임 하는 것을 보았는데 그때 그의 생각 가운데 우리도 언어를 가지고 게임을 할 수 있다는 영감을 갖게 되었다고 한다. 어린애들이 처음에는 지시적으로 언어를 배우지만 일단 배우면 여러 가지 다른 언어를 배울 수 있는 것처럼 언어를 쓰고 배우는 것이 게임과 비슷하다. 게임에 룰이 있는 것처럼 언어사용에도 룰이 있다. 이 룰이 문법이며 우리 신자는 성경의 언어를 배움으로써 신자로 되어 가는 것이다. 문제는 어떻게 누가 성경언어를 가르치고 배우느냐에 따라서 여러 가지 형태의 신앙생활의 틀을 결정한다. 개혁주의 신앙을 배우면 개혁주의 신자가 되는 것은 인위적인 것이 아니며 언어가 보여주는 .. 2021. 11. 8.
성경해석학(고광필) 부록 - 현대적 접근의 문제점 목록가기 성경해석에 대한 현대적 접근 방식의 문제점 칼빈의 성경해석 방법은 역사적 문법적인 방법이라는 사실은 자타가 공인한 바이다. 역사적 문법적인 방법을 사용하는 자는 성령님의 가르침과 내적 조명을 받아서 성경의 자연스럽고 분명한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다. 현대 해석학의 접근방법을 이해하는 것이 성경을 해석하는 데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다만 이해의 구조와 지평을 넓혀 줄뿐이다. 여러 해석학적 접근방식 중에서 언어의 사용을 보는 문법적 언어 분석은 역사적 문법적 성경해석 방법의 깊은 통찰력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고 한다. 성경해석에 대한 현대적 접근방식은 크게 두 조류로 나눌 수 있다. 유럽을 중심으로한 현상학적 실존적 접근방식과 영국을 중심한 일상언어 접근방식이다. 전자는 쉴라이허막허에서 .. 2021. 11. 8.
성경해석학(고광필) 9강 - 비유해석의 논리 목록가기 비유해석의 논리 성경에는 여러 문학의 장르가 있다. 역사, 시, 이야기, 편지, 비유등이다. 그렇다고해서 이런 장르가 문학, 시, 역사를 이야기 하기 위해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메시아로 예언된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 이루워지는 하나님의 구속의 경륜과 역사를 인간이 잘 이해하고 받아드릴 수 있도록 설명하고 보여주기 위해서 하나님이 당신의 예정과 섭리 가운데 여러 문학의 장르를 통해서 하나님의 창조와 구속 역사를 계시하신 것이다. 성경에 기록된 여러가지 장르 중에서 우리 주님께서 사용하신 문학의 장르의 하나가 비유이다. 예수님의 가르치는 방법 중에서 비유에 의해서 계시된 하나님의 나라에 대한 담론(discourse)은 중요한 신학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 복음서에 등장하는 비유의 수는 상당히 많으.. 2021. 11. 8.
성경해석학(고광필) 8강 - 두 지평의 논리 목록가기 두 지평의 논리(The Grammar of Two Horizons) 전통적으로 고대 해석학은 고대 문서의 이해를 위한 규칙들의 공식화에 있었다. 해석자는 문법, 어휘, 문체들을 포함한 텍스트의 언어로부터 출발했다. 즉 택스트의 언어적, 문화적, 역사적 문맥을 조사함으로서 해석학이란 역사적인 맥락에서 조건지워진다고 봤다. 그러나 현대에 이르러서 해석학이란 텍스트의 역사적 맥락이란 양면적 즉 해석자와 택스트간의 관계성에서 이루어진다고 본다(anthony C. 씨슬톤, , 권성수외 역[총신대학출판부, 1995], 40). 종교개혁 이후 개몽주의 영향으로 오직 성경만(Scripture alone)으로가 아니라 오직 이성만(reason alone)으로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모든 것은 이성의 검증을 받게 되.. 2021. 11. 8.
성경해석학(고광필) 7강 - 칼빈의 성경해석 2 목록가기 6) 성경 해석과 해석자의 자질 성경을 해석하는 데는 두 지평이 있다. 성경과 해석자이다. 성경 해석은 이 두 관계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성경과 성경을 해석하는자이다. 성경 해석에 있어서 이 두 관계는 아주 중요하다. 이 두 관계를 Anthony C. Thiselton은 두 지평이라고 했다. Anthony C. Thiselton, The Two Horizons New Testament hermeneutics and Philosophical Description(Michigan:William B. Eermans Publishing Company, 1980), xix. 여기서 지평이라는 말은 은유로 해석자의 限界性(limits of thoght dictated by a given viewpoint .. 2021. 11. 8.
성경해석학(고광필) 7강 - 칼빈의 성경해석 1 목록가기 칼빈의 성경 해석 논리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에 의하면 성경은 “하나님의 감동으로 된 것으로 신앙과 생활의 법칙”(All Which are given by inspiration of God, to be the rule of faith and life)이다. 『개혁 주의 신앙고백집』, 김의환 목사 편역(생명의 말씀사, 1992), 18. 성경은 하나님의 감동으로 쓰여졌다. 그래서 성경의 저자는 하나님이시요, 성경은 신앙과 삶의 유일한 규범이 되는 것이다. 여기서 강조된 것은 성경은 신앙과 삶의 유일한 규범이라는 것이다. 성경 외에 다른 방법으로 사는 것은 신자라고 할 수가 없다. 왜냐하면 성경이 그렇게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Karlfried Froehlich에 의하면 교회사는 성경 해석사로 이해.. 2021. 11. 8.
성경해석학(고광필) 6강 - 중세 성경해석 목록가기 중세성경 해석 중세에 있어서 성경 해석은 알레고리칼 해석을 네 가지 계층의 의미로 구분했다. Wayne G. McCown은 다음과같이 요약한다. 문자적인 의미는 하나님과 믿음의 조상들이 무엇을 했는가를 보여주며, 알레고리는 우리의 믿음이 어디에 숨겨져 있는가를 보여주며, 도덕적인 의미는 우리의 믿음이 생활의 규칙을 주며, 신비적인 의미는 어디에서 우리의 영적인 투쟁이 끝나는가를 보여준다. (The letter shows us what God and our fathers did. The allegory shows us where our faith is hidden. the moral meaning gives us rules of daily life. The anagogy shows us where.. 2021. 11. 8.
성경해석학(고광필) 5강 - 모형론적 성경해석 목록가기 모형론적 성경해석의 논리 (typ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Scripture) 초대 교회사를 보면 구약 성경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하는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었다. 말하자면 신구약 성경의 통일성이 문제가 되었다. 영지주의자들은 성경과 철학을 혼합해서 신구약을 이해하려고 했다. 말시온(Marcion, 160) 같은 이단은 아예 구약 성경을 인정하지 않했다. 왜냐하면 구약의 하나님은 잔인하고 악한 하나님이며 단지 산약의 사도 바울 서신과 누가복음서만 인정했다. 이러한 이단을 반박하기 위해서 이레니우스(A.D. 130-200)나 터툴리안(A.D.160-225)과 같은 교부들은 진리의 척도(the cannon of the truth) 혹은 믿음의 룰(the rule of.. 2021. 11. 8.
성경해석학(고광필) 4강 - 초대교부의 성경해석 목록가기 초대교부 성경해석 논리 Karlfried Froehlich는 교회사는 성경 해석사로 이해할 수 있다고 했다. Biblical Hermeneutics in Historical Perspective ed. Mark S. Burrow & Paul Rorem Michigan:William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91), 15. David L. Puckett, John Calvin's Exegesis of the Old Testament (Kentucky: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995), ix. 이 말은 교회사를 역사로 보는 견해가 아니라 성경 해석 관점에서 교회사를 이해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교회사의 흐름을 성경 해석의 관점에서 보고자 .. 2021. 11. 8.
성경해석학(고광필) 3강 - 사도바울의 성경해석| 목록가기 사도바울의 성경해석원리 서론 1.성경해석의 두 요소 a)text와 해석자:두 지평(이해의 범위) 2.text와 해석자의 관계성 a)상관관계(상호):지평의 융합(가다마) b)해석자 우선:실존해석학(불트만), 해방신학, 여성신학 c)택스트에 의해서 지배:폴 리쿠어 d)저자의 의도:말씀과 성령의 내적조명 3.사도 바울 a)랍비해석의 권위자랍비 힐렐의 후게자요 제자에게서 배움 b)신약의 2/3을 기록 c)이방의 전도인 d)최초의 조직신학자(십자가와 부활의 의미를 교회 특수상황에 맞게 해석) e)다메섹도상에서 변화받음 3.디모데 전후서 a)유일한 개인을 지적하여 편지를 씀 b)로마시의 대 화재로 인하여 네로 황제는 자기의 화재를 감추기 위하여 기독교인에게 뒤집어 쓰워서 기독교는 불법종교로 지정되었다.로마.. 2021. 11. 8.
성경해석학(고광필) 2강 - 랍비의 성경해석 목록가기 유대인의 성경 해석(Jewish Approach to Biblical Interpretation) 성경 해석사를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다. 해석사를 통하여 우리는 성경해석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 성경 해석에 오류를 범하는 과오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해석의 역사는 유대인의 탈굼(targum)으로부터 시작된다. 탈굼은 모세의 율법을 평범한 의미와 숨겨진 의미를 사용하여 해석했다. 세 개의 중요한 구릅들이 유대인 성경해석의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1. 랍비 힐렐의 성경 해석 예수님과 동시대 사람인 랍비 힐렐(Hillel)의 평이한 의미에 대한 논리적 확장인 일곱가지 규칙을 제시했다. 일곱가지 규칙은 다음과 같다. 1. “비중이 적은 의미(소전제)로부터 비중이 큰 의미(대전제).. 2021. 11. 8.
성경해석학(고광필) 2강 - 랍비의 성경해석 목록가기 유대인의 성경 해석(Jewish Approach to Biblical Interpretation) 성경 해석사를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다. 해석사를 통하여 우리는 성경해석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 성경 해석에 오류를 범하는 과오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해석의 역사는 유대인의 탈굼(targum)으로부터 시작된다. 탈굼은 모세의 율법을 평범한 의미와 숨겨진 의미를 사용하여 해석했다. 세 개의 중요한 구릅들이 유대인 성경해석의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1. 랍비 힐렐의 성경 해석 예수님과 동시대 사람인 랍비 힐렐(Hillel)의 평이한 의미에 대한 논리적 확장인 일곱가지 규칙을 제시했다. 일곱가지 규칙은 다음과 같다. 1. “비중이 적은 의미(소전제)로부터 비중이 큰 의미(대전제).. 2021. 11.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