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회사. 신조.청교도.기타〓/초대 교회사10

03 로마교회의 성장 시대(800-1073) http://irt.kr 국제개혁신학목회연구원 로마교회의 성장 시대(800-1073) II. 로마교회의 성장 시대 (800-1073) 1. 성장시대의 특징 1) 신성 로마제국이 건설된 점 2) 교황권의 강화와 부패가 있었던 점 3) 동서교회의 분리가 있었던 점이 특징이다 2. 샤를마뉴 (Charlemagne)대제 1) 왕위 계승 (1) 모하메드 군대를 격파한 샤를 마르텔의 손자로서 아버지 페팽 (Pepin)에게서 왕위를 계승했다. (2) 768년 즉위하여 46년간 재위하면서 영토 확장에 주력하였다. a. 징벌 전쟁 50회 서 - 스페인 사라센인 남 - 이탈리아 롬바르드인. 동 - 색슨인. (3) 대관식 a. 800년 크리스마스에 거행하고 b. 교황이 금관을 씌우며 로마 황제 칭호를 수여했다. 2) 업적 .. 2021. 11. 5.
아담부터 요셉까지 연대표 아담부터 요셉까지 연대표/하나로님 | 작성자 : 하나로 (2006.8.12) 년대기준 아담 셋 에노 게난 마하 랄렐 야렛 에녹 므두 셀라 라멕 노아 셈함 야벳 아르 박삿 셀라 에벨 벨렉 르우 스룩 나홀 데라 아브 라함 이삭 야곱 요셉 BC 기준 셋 기준 아담 기준 930 912 905 910 895 962 365 969 777 950 600 438 433 464 239 239 230 148 205 175 180 147 110 -3959 0 아담 -3829 0 130 130 셋 -3724 105 235 105 에노 스 -3634 195 325 90 게난 -3564 265 395 70 마하 랄렐 -3499 330 460 65 야렛 -3337 492 622 162 에녹 -3272 557 687 65 므두 셀라.. 2021. 11. 4.
03 로마교회의 성장 시대(800-1073) 로마교회의 성장 시대(800-1073) II. 로마교회의 성장 시대 (800-1073) 1. 성장시대의 특징 1) 신성 로마제국이 건설된 점 2) 교황권의 강화와 부패가 있었던 점 3) 동서교회의 분리가 있었던 점이 특징이다 2. 샤를마뉴 (Charlemagne)대제 1) 왕위 계승 (1) 모하메드 군대를 격파한 샤를 마르텔의 손자로서 아버지 페팽 (Pepin)에게서 왕위를 계승했다. (2) 768년 즉위하여 46년간 재위하면서 영토 확장에 주력하였다. a. 징벌 전쟁 50회 서 - 스페인 사라센인 남 - 이탈리아 롬바르드인. 동 - 색슨인. (3) 대관식 a. 800년 크리스마스에 거행하고 b. 교황이 금관을 씌우며 로마 황제 칭호를 수여했다. 2) 업적 (1) 영토 확장, 교회 옹호 확장에 힘썼고(아.. 2021. 11. 4.
고대신조 고대신조"신조는 왜 있어야만 하는 것일까?", "성경만 믿으면 되지 도대체 성경도 아닌 신조를 중요시 여기는 것은 구시대적인 발상이 아닌가?"라는 질문을 오늘날 우리는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고야 말로 위험한 것임을 우리는 알아야 한다. 왜 위험한지에 대한 궁금증은 바른 신조가 왜 그토록 중요한 것인지에 대한 설명을 하고나면 자연스럽게 풀릴거라 생각된다. 뿐만 아니라, 신조가 무오하다는 것은 아니지만, 바른 신조는 성경의 진리를 위해서 작성된 것이기 때문에 21세기를 사는 우리에게 일지라도 신앙의 유산물로 주어진 귀한 자료임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그러면 우리가 존경하는, 세계 3대 칼빈주의자로 알려진 바빙크(Herman Bavinck)의 견해롤 통해서 이러한 궁금증을 풀어보자. 바빙크는 교회의.. 2021. 11. 4.
고대교회사 고대교회사 - 헬레니즘과 로마문명에서의 교회역사 - V. 1.1 독일에서는 교회사를 5 시대로 구분한다: 고대 교회사 – 중세사 – 종교 개혁사 – 근대사 – 현대사 (혹은 근대사와 현대사를 하나로 묶이도 한다) 참고문헌: 독일어 문화권의 대학에서는 일반적으로 교회사에 교리사와 기독교 사상사를 포함한다. 따라서 교회사 책을 읽으려면 철학적 기본지식이 요구된다. 교리와 철학을 많이 다루므로 책을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 물론 별도로 집필된 교리사 교과서도 있다. 독일의 교회사가들은 대체로 철학이나 문화사에 정통한 사람들이다. Armin Sierszyn(아민 저진): 2000 Jahre Kirchengeschichte. 1권 고대 교회사가 1995년에 나옴으로서 독일어권 복음주의권에서는 처음으로 대학 교과서로.. 2021. 11. 4.
네로 황제와 핍박받는 기독교 예수님과 사도시대의 지중해 지역은 로마라는 거대 제국이 지배하던 때였습니다. 지중해는 남부 유럽과 지금은 흔히 중동지역이라고 불리는 서남 아시아, 그리고 북 아프리카에 둘러쌓인 바다입니다. 당시 이탈리아 반도의 한 작은 촌락 로마가 성장하면서 이탈리아 반도를 통일하였습니다. 그 후 로마는 북 아프리카의 큰 세력인 칼타고와의 포에니 전쟁을 거쳐 서북 아프리카와 이베리아 반도를 포함하는 지중해 서쪽을 지배하게 되었습니다. 그 후 로마는 동쪽으로 세력을 넓혀 알렉산더 이후의 분열된 헬라제국을 차례로 무너뜨리고 지중해의 동부까지 모두 지배하게 되었습니다. 그런 역사적인 배경 가운데서 예수님의 탄생이 있게 되었던 것입니다. 예수님의 탄생과 관련하여 성경은 그 시기를 ‘가이사 아구스도가 영을 내려’라고 분명한 역사.. 2021. 11. 3.
초대교회사 3 (니케아 후 시대 & 초대교회 신조) 초 대 교 회 사 3 니케아 후 시대(325-590) 1. 기독교의 국교화 과정(*표 1) 콘스탄틴 대제(275-337) 데오도시우스 황제(346-395) 유스티니안 황제(482-565) 업 적 1)밀라노 칙령(313)으로 기독교 공인 2)기독교를 장려하기 위한 각종 법률의 정비 3)주일을 공휴일로 제정 3)이단을 멸하고 교회 통일 도모 4)고대 악습 철폐 및 풍속 개정 5)교회 법률을 국가가 승인 6)신앙의 자유 허락 7)콘스탄티노플*로 수도 천도 8)신약성경 필사, 콘스탄티노플 등 교회에 기증 9)예루살렘 성지 등 곳곳에 교회당 신축 1)암브로우스에게 감화 받아 이교와 이단 금지 2)모든 우상 중교의 신사 참배 금지(391) 3)기독교를 국교로 선포(395) 4)우상 제사 처벌법 제정 5)올림피아 제.. 2021. 11. 2.
초대교회사 4 (어거스틴 & 펠라기우스) 초대교회사 4 (어거스틴 & 펠라기우스) 카페 > 캘거리 개혁신앙연구회(CKR.. | 주나그네 http://cafe.naver.com/calgaryreformed/321 초 대 교 회 사 4 3. 정통 신학자 어거스틴 (1) 생애와 사상 1) 생애(Augustinus, 354-430) ① 354년 북아프리카 타카스데에서 출생(이교도 아버지 파트리키우스와 경건한 어머니 모니카 사이) ② 일찍이 신앙을 떠나 수사학을 공부, 세상 친구들과 어울림 ③ 19세때 마니교에 탐닉(12년간) ④ 로마 이주 후(383), 신플라톤주의에 빠짐 ⑤ 스승 암브로시우스(Ambrosius, 340-397)*를 통해 카톨릭에 관심을 갖게 됨 - 암브로시우스는 밀라노의 감독으로 아리안주의에 반대하여 정통교회를 보호함 - 화체설(12.. 2021. 11. 2.
초대교회사 2 (니케아전시대) 카페 > 캘거리 개혁신앙연구회(CKR.. | 주나그네 http://cafe.naver.com/calgaryreformed/319 초 대 교 회 사 2 제3장 니케아 전 시대(170-325) 1. 니케아 전 시대의 개요 (1) 교부들의 등장에서 니케아 회의까지의 기간 (2) 기독교 지역 확장(*그림 2) (3) 기독교에 대한 사상적 공격(* 표 3) 2. 교부들의 등장과 사상 (1) 정의 : 사도들의 직계 제자, 교리에 정통성을 가진 자, 교리를 건설한 자 (2) 구분 1) 속사도 교부(*표 4) 2) 변증가(교부)(*표 5) 3) 헬라 교부(*표 6) 4) 라틴 교부(*표 7) 3. 초대교회의 이단과 분파주의 (1) 초대교회 이단들과 그 주장(*표 8) (2) 초대교회 분파운동(*표 9) 2021. 11. 2.
초대교회사 1 (사도시대-니케아 전시대) 사도시대의 개요 (1) 사도(예수 그리스도의 직계 제자)들의 활동 (2) 오순절 성령 강림과 기독교 전파 ▶ 예수 그리스도 승천이후의 12사도의 전승(*표 2) ☞ 출처 : Robert C. Walton, Chronological and Background Chart of Church History (3) 바울의 개종과 전도 여행 (4) 예루살렘, 안디옥, 에베소 교회 설립과 기독교 확장 ▲ 사도 바울의 제3차 선교 여행(*그림 1) (5) 신약 성경 기록 1) 신약 성경 기록 완성 후 오랜세월 정경론 논의가 지속됨 2) 사도권 권위와 정통 교부들의 인정과 논의를 거쳐 신약성경 27권을 정경으로 받아들임 (395년, 카르타고 종교회의) (6) 사도신경 작성 1) 12사도가 예루살렘에서 신앙의 표준으로 작.. 2021. 1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