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회사. 신조.청교도.기타〓/중 세교회사9

종교개혁 492주년을 맞으면서... / 정성욱목사 10월 31일은 종교개혁 기념일입니다. 16세기 루터, 칼빈, 쯔빙글리, 멜랑히톤, 피터 마터 버밀리, 존 낙스, 부처, 불링거 등을 통하여 하나님께서 일으키신 종교개혁은 교회사에 있어서 가장 빛나는 사건들 중 하나였습니다. 우리는 보통 종교개혁하면 루터나 칼빈만을 생각하는데 사실 그 당시 루터와 칼빈과 더불어 종교개혁 운동에 참여했던 지도자들은 수십, 수백명이었으며, 그 운동에 동참했던 성도들은 수백만이었습니다. 무엇보다도 종교개혁은 교황이나 교회의 전통의 권위보다 더 높은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의 최고권을 회복하는 운동이었습니다. 그리고 예수 믿음만으로 구원을 못받는다는 카톨릭의 가르침에 대항하여 오직 예수, 오직 십자가, 오직 은혜, 오직 믿음이라는 구원론의 진리를 아름답게 회복한 운동이었습니다. 동.. 2021. 11. 4.
종교개혁 원리들의 재확인 / 조엘 비키 종교개혁 원리들의 재확인 / 조엘 비키 / 한제호 역 글쓴이: grace 09.03.17 http://cafe.daum.net/yangmooryvillage/RkzJ/9779 종교개혁 원리들의 재확인 조엘 비키 / 한제호 역 종교개혁은 실제로 무엇을 추구했던가? 우리는 무엇을 알아야 한다고 했는가? 우리는 무엇을 사랑하라고 했던가? 종교개혁의 모든 위대한 진리들과 그것이 우리에게 위임한 유산들은 다섯 마디의 구호들에 들어 있다. 오직 성경(Scripture Alone) 첫 마디는 '솔라 스크립투라'(Sola Scriptura), 즉 '오직 성경'이다. 오직 성경은 종교개혁의 성격을 규정했던 한 위대한 표시였다. 그러나, 성경으로 돌아가라는 구호는 루터에게서 시작된 것은 아니었다. 오직 성경으로의 구호는 .. 2021. 11. 4.
종교개혁과 칼빈의 경건 [박응규교수] “종교개혁과 칼빈의 경건: 구원의 심각성과 종말론을 중심으로" 박응규 (ACTS, 역사신학) 박응규 교수(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들어가는 말 한국교회는 전통적으로 내세에 대한 관심이 지대했으며, 그 현상은 여전히 주요한 신앙의 특성으로 작용하고 있다. 21세기를 맞이한 이 시점에 있어서도 교회뿐만 아니라, 사회의 여러 분야에서 말세에 관한 서적들은 꾸준히 읽혀지고 있다. 그러나 기독교 신앙에 있어서 종말론은 구원론과의 연관성 속에서 연구 되어야하며, 그럴 때에야 그 의미와 가치가 확연히 드러난다. 종말론은 단지 시대의 현상이나 고통스러운 환경 속에서 강하게 영향을 주는 교리가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의 대속적 사역과 개인과 인류의 종말에 대한 인식이 접목되어질 때에야 비로소 그 본질을 바르게 이해하고 우리의.. 2021. 11. 3.
종교개혁 영성의 기초를 이루는 네 개의 주요 주제 [종교개혁 영성의 기초를 이루는 네 개의 주요 주제] 요즘 계속 더운 날씨 때문에 밤잠을 설칠 때가 많습니다. 그러다 보니 낮에도 가끔씩 졸음이 몰려오기도 합니다. 오늘 아침도 여전히 화창한 해가 떠 올랐습니다. 아침인데도 벌써 땀이 나는 군요.... 알리스터 맥그라스가 쓴 ‘종교개혁 시대의 영성’을 읽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 종교 개혁 영성의 기초를 이루는 4가지 핵심 주제에 대한 부분을 요약해 보았습니다. 1. 그 영성의 기초는 성경 연구에 있으며, 거기로부터 풍성한 양분을 공급받았다. 성경은 기독교 신앙을 낳고 자라게 하는 수단으로, 주권자이신 하나님이 그 권위를 부여하시고 우리에게 주신 것이다. 종교개혁을 이끌었던 인물들은 성경을 읽고 묵상하는데 집중한 사람들이었다. 2. 종교개혁 영성은 인간의 .. 2021. 11. 3.
종교개혁의 영성과 현대인의 신앙 -대담/ 종교개혁자 존 칼빈 정성욱 존 칼빈은 지금으로부터 약 500년 전인 1509년 7월, 파리에서 약 60일 떨어진 프랑스 북구 노용에서 태어났다. 그리고 1564년 5월 하나님의 품으로 돌아갔다. 55년의 생애를 살면서 총 59권에 달하는 책을 저술했다. 역작 「기독교 강요」와 성경 각권의 주석은 후세의 그리스도인들에게 탁월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현대인에게도 강한 도전과 신앙의 확신을 주리라 믿으며, 존 칼빈과의 가상 인터뷰를 시작한다. 1509년 7월 10일 프랑스 노용에서 출생 1523 - 1527년 파리대학에서 철학, 논리학, 라틴어 공부 1527 - 1529년 오를레앙대학에서 법학 전공, 인문주의 법학에 영향을 받음 1529 - 1531년 부르쥬대학, 회심 1531 - 1533년 파리와 오를레앙대학에서 신학 연구, 「세네.. 2021. 11. 3.
종교개혁 [宗敎改革 Reformation] 종교개혁 [宗敎改革 Reformation] 요약 중세 가톨릭교회를 분열시키고 프로테스탄트교회를 수립한 16세기의 교회개혁. 중세 가톨릭교회는 14세기의 교회분열로 인하여 보편적 권위를 잃고 보헤미아에서는 J. 후스에 의하여 교회개혁을 강요당하고 있었다. 콘스탄츠공의회(1414∼16)는 분열의 해결 즉 교회 전체의 통일과 후스 처리에 일단은 성공하였으나 교회 전체의 개혁에는 실패하였다. 내용 중세 가톨릭교회를 분열시키고 프로테스탄트교회를 수립한 16세기의 교회개혁. 중세 가톨릭교회는 14세기의 교회분열로 인하여 보편적 권위를 잃고 보헤미아에서는 J. 후스에 의하여 교회개혁을 강요당하고 있었다. 콘스탄츠공의회(1414∼16)는 분열의 해결 즉 교회 전체의 통일과 후스 처리에 일단은 성공하였으나 교회 전체의 .. 2021. 11. 3.
중세교회사 2 (성장기) 중 세 교 회 사 2 중세 교회의 성장기(800-1073) 1. 샤를마뉴 대제와 신성로마제국 출현 배경 (1) 서로마 제국 멸망(476) (2) 게르만 및 이민족의 이주와 압박 (3) 5세기 프랑크 왕국, 메로빙거 왕조 성립(by 클로비스) (4) 6세기 카톨링거 왕국 건설(by 재상 마르텔) (5) 프랑크 왕국의 전성기(마르텔 - 피핀 - 샤를마뉴) (6) 프랑크 왕국과 서로마 교황들간의 정치적 밀월 관계 형성 1) 서로마 교황들 동로마 황제 권력을 견제 위해 2) 롬바르드족 팽창 막기 위해 프랑크 왕국 지지 (7) 피핀 롬바르드족 제압하고 이탈리아 영토를 교황에게 기증(콘스탄티누스 기증장) (8) 교황령의 시초가 됨 2. 샤를마뉴 대제(800-814) (1) 샤를마뉴 대제 1) 생애 ① 프랑크 왕국 .. 2021. 11. 2.
중세교회사 1 (과도기 & 이슬람 발흥) 중 세 교 회 사 1 중세 교회의 과도기(590-800) ▶중세시대 시대 구분 (1) 과도기(590 - 800) : 고레고리우스 1세 ~ 샤를마뉴 대제 (2) 성장기(800 - 1073) : 샤를마뉴 대제 ~ 그레고리 7세 (3) 전성기(1073 - 1303) : 그레고리 7세(힐데브란트) ~ 보니페이스 8세 (4) 쇠퇴기(1303 - 1517) : 보니페이스 8세 사망 ~ 루터의 종교개혁 ▶ 6세기 초반의 유럽 역사 이해(*그림 1) Ⅰ. 중세 교회의 과도기(590 - 800) 1. 카톨릭 교회란? (1) 명칭 1) 원래 명칭은 ‘신성 공동 사도적 로마교회’(Holy Catholic Apostlic and Rome Church) 2) 보편, 세계 교회가 하나의 단일 교회라는 의미로 사용함 3) 최초 사.. 2021. 11. 2.
중세 교회사 (내용 요약) / 조셉 린치 지음 중 세 교 회 사 조셉 린치 지음 / 심창섭· 채천석 옮김 1. 내용 요약 고대기독교: 기독교는 역사적 사건을 중요시 하는 종교이다. 이 신념의 원천은 구약성경-하나님과 인류, 그 택한 백성 유대인과의 관계를 이야기-이며, 동정녀 마리아 탄생, 인간으로 사심, 십자가에 죽으시고 3일 만에 부활하셨다는 신념을 갖고 있었다. 그리고 오순절 사건, 즉 마가요한 다락방의 120명 모임에서 성령 충만을 받고(행 2: 42-47, 행 4:32-35), 믿는 무리가 한 마음과 한 뜻이 되어 유무상통하며, 사도들은 큰 권능으로 주 예수의 부활의 증거를 가르치는 역사적 사건을 경험한다. 그러나 상이한 집단들의 이해의 상이성으로 격렬한 격론을 경험하나 베드로를 비롯한 12 제자 , 예루살렘 공회 지도자 야고보, 바울, 바.. 2021. 1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