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회사. 신조.청교도.기타〓/근현대 교회사11

교회사를 통해 본 개혁과 교회문제 / 이상규교수 교회사를 통해 본 개혁과 교회문제 / 이상규교수 글쓴이: 열매가득 08.03.03 http://cafe.daum.net/tbbl/Gasu/59 아래 글은 진리와 학문의 세계 제13권(2005년 가을호 달구벌기독학술연구회)에 실린 글을 옮긴이(keeper77)가 손수 타이핑하여 다시 편집, 게재합니다.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2006년 개강(봄)학기 학술세미나에 고신, 이상규교수가 금번에 말씀을 전해주실 것으로 예정되어 있어서 마침“교회사에 비춰 본 한국교회의 문제와 교회개혁에 관한 좋은 글”이 있어 게재합니다. 꼼꼼히 읽어 보시면서, 여러 가지 리플(소감)도 부탁드립니다. 아울러, 퍼 가실 때에는 옮긴이의 수고도 고려하여 답글도 잊지 마시길.... 교회사를 통해 본 교회개혁과 한국교회의 문제 (Vita cl.. 2021. 11. 4.
06 옥스퍼드 운동. (Oxford Movement) http://irt.kr 국제개혁신학목회연구원 6. 옥스퍼드 운동. (Oxford Movement) 1) 의의와 발단 1833-1841년에 옥스퍼드 대학을 중심으로 일어난 종교 운동으로서 일명 소책 자 운동이라고도 한다. 1822년의 선거법 확장안과 1828년 종교 자유법안으로 중산층의 국회 진출이 늘고 개혁파의 세력이 커지자 고교회의 권위 보존을 위해 일어났다. 그 발단은 1833년 7월 14일 존 키이블(John Keble)이 이란 설교를 함으로 시작되었다. 2) 목적 (1) 종교의 침체를 구출코자 (2) 건실하고 순수한 교회를 육성코자. (3) 도덕 재무장코자. (4) 교리와 규칙을 지키려고. (5) 전통의 계승을 위해서 일으킨 것이다. 3) 중심 인물 (1) 존 키이블 (John Keble,179.. 2021. 11. 4.
05 옥스퍼드 운동 전의 영국 교회 http://irt.kr 국제개혁신학목회연구원 5. 옥스퍼드 운동 전의 영국 교회 1) 영국 교회를 지배한 사상들 (1) 메더디스트 복음파와 (2) 고교회파(高敎會派):감독직이 사도이래로 전승되었음을 주장한 파와 (3) 프랑스 혁명의 자유 사상이었다. 2) 코울리지 (Samul Taylor Coleridge,1772-1834). (1) 생애 a. 케임브리지, 옥스퍼드에서 수학했고. b. 천재로서 호반 시인, 평론가,철학자, 종교가로서 라고 불리었다. c. 칸트,셀링의 저서를 탐독하고,스피노자를 숭배했다. (2) 사상 a. 종교론...종교는 다 영적이며 외적 증명에 있지 아니하다고 하고. b. 죄...원죄를 강조했으며 c. 속죄론...그리스도의 죽음이 우리 죄를 속함은 우리 경험으로 알 수 없는 비밀이다고.. 2021. 11. 4.
[[세계교회사]] 영국교회 부흥과 쇠퇴의 원인 한국 개혁주의 설교연구원 제 11주년 기념 세미나 김현배 목사 목차 1. 청교도와 부흥(Revival) 2. 청교도들이 끼친 영향력 3. 영국교회 부흥의 역사 4. 영국교회 현황 5. 영국교회 부흥의 원인 6. 부흥의 결과 7. 영국교회 쇠퇴의 원인 8. 결론 1. 청교도와 부흥(Revival) 부흥이란 성령께서 비상하게 역사하실 때 교회 생활에서 체험되어 활기없이 잠들어 있는 그리스도인들의 내적인 삶을 다시 새롭게 하시는 역사이다. 즉 성도들이 영적으로 침체되었고 힘이 빠진 상태로 거의 죽어 가는 교회의 그리스도인들을 활기있게 하고 깨어 소생하게 하는 것이다. 하나님께서는 부흥 가운데 옛것들을 새롭게 하시고, 율법과 복음에 새로운 능력을 부여하시고, 마음과 양심이 눈 멀고 딱딱하고 차가운 자들에게 새로.. 2021. 11. 3.
교회사에 나타난 지도자의 유형별 분석 교회사에 나타난 지도자의 유형별 분석 박용규 - Ⅰ. 들어가는 말 기독교 역사에 나타난 지도자의 유형은 일반 지도자의 유형과는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먼저 밝혀두고자 한다. 미국 아이와 대학의 케이 레윈(K. Lewin)과 알 리피트(R. Lippitt)교수는 따르면 지도력의 유형에는 민주주의형(democratic), 권위주의형(authoritarian), 그리고 자유방임형(laissezfaire)이 있다. 오늘날 비기독교계는 물론 일부 기독교계에서도 이 분류 방법을 보편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는 듯하다. 그러나 이런 세가지 형태의 분류 방법을 교회사에 나타난 기독교 지도자의 유형 분석에 적용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그것은 오스왈드 샌더스(Oswald Sanders)가 지적한 것처럼 기독교 지도자들과 세상의 .. 2021. 11. 3.
교회와 세계사를 시작하며 이 글은 이미 연재되었던 ‘평신도를 위한 성경과 세계사’의 후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성경과 세계사’에서 성경의 사건들을 역사적으로 족장시대부터 사도시대까지를 다루었다면, ‘교회와 세계사’는 그 이후의 역사를 정리해 보고자 하는 것입니다. 사도시대 이후를 교회시대라고 기독교회사에서 분류합니다. 필자는 특히 이 글에서 사도시대 이후의 교회사와 함께 세계사를 엮어보고자 합니다. 그리스도의 교회는 예수 그리스도를 구주로 고백하는 신자들의 공동체입니다. 삼위일체되신 하나님만이 유일하신 신이시며 예수 그리스도만이 유일한 구원의 길임을 믿고 고백하는 성도들의 공동체인 것입니다. 이 글을 통해서 필자는 독자들과 함께 교회의 역사를 세계사와 함께 배우며 교훈을 얻고자 합니다. 기독교회는 A.D. 1세기의 예수님의 .. 2021. 11. 3.
04 실라이어마허 이후 철학 >http://irt.kr 국제개혁신학목회연구원 4. 실라이어마허 이후 철학 1) 헤겔 (Georg W.F.Hegel,1770-1831). (1) 생애 a. 시투트가르트(Stuttgart)에서 출생하여 튀빙겐 대학에서 수학했다. b. 가정교사,예나 대학 강사, 신문기자,고교 교장 등을 거쳐서 1816년 하이델베르크 대학 교수가 되었다가 베를린 대학 교수로 자리를 옮겼다 (2) 사상 a. 관념론을 논리적으로 발전시켜 범신론을 주장했다. b. 셀링(Schelling)의 세계관을 근거하여 체계화 하려고 시도하였고,논리와 형이상학을 동일시하였으며, 실재를 활동과 발전 과정으로 보았다. c. 라이프니쯔의 주지설을 발전시켜 이성과 절대자를 동일시하고 이성은 논리적과정 그 자체라고 했다. d. 변증법적 과정에 있어서.. 2021. 11. 3.
03 실라이어마허 (Schleiermacher,1768-1834) http://irt.kr 국제개혁신학목회연구원 3. 실라이어마허 (Schleiermacher,1768-1834) 1) 생애 (1) 1768년 동부 독일 브레슬라우 (Breslau) 에서 목사의 아들로 출생했다. (2) 바르비(Barby)신학교를 마치지 못하고 할레(Halle)대학으로 옮겨 칸트를 연구했다. (3) 할레 대학과 베를린 대학에서 강의하였다 2) 신학 (종교적 체험의 신학) (1) 종교론 a. 감정이나 감정 영역에 속한다 하고.인간 정서에 기초하여 신을 의지하는 생활이다고 한다 (객관적 계시보다 주관적 감정에 권위를 두어 종교를 인간학으로 대치시켰음). b. 종교란 무한한 감촉을 맛보는 것이라 한다.( 경험). (2) 기독교의 본질 a. 그리스도 중심이었다 (합리주의자는 구속의 역사가 그리스도.. 2021. 11. 3.
02 철학과 문학의 새로운 사조 http://irt.kr 국제개혁신학목회연구원 2. 철학과 문학의 새로운 사조 1) 의의 프랑스의 혁명 당시만 해도 교회는 인심을 지배할 수 있었으나 19세기에 접어들자 새로운 움직임이 철학계와 문학계에서 일어나기 시작하였다 2) 문학자 (1) 루소.(J.J.Rorsseau,1712-1778) (2) 괴테.(J.W,von Goethe.1749-1832) (3) 실러.(J.C.F.von Schiller,1759-1805) 3) 철학자 (1) 칸트 (Immanuel Kant,1724-1804) a. 생애 ㄱ.1724년 4월 22일 독일 쾨니히스베르크(Konigsberg)에서 출생하고 여기서교육을 받았다. ㄴ.1775년 쾨니히스베르크 대학 강사로 취임하였고 1770년에 정교수가 되었다. ㄷ.이 도시에서 평생을.. 2021. 11. 3.
01 정숙주의 (Quietismus) http://irt.kr 국제개혁신학목회연구원 7. 정숙주의 (Quietismus) 안정을 중요시하는 신비주의로서 그 근원은 스페인의 Alombrados (광명을 받은자)에서 찾을 수 있다. 1) 미카엘 몰리노스 (Michael Molinos, 1640-1697) (1) 생애...사라곳사 (Saragossa) 부근에서 출생하여 코임브라 (Coimbra)에서 교육 받았고. 1669년 로마에서 와서 설교자로 활약하였다. (2) 저서... 를 발행했다. a. 완전해지려면 마음이 조용해야 한다.즉 말하지 않고 느끼지 않고 아무런 능력도 없이, 움직이지도 말아야 한다. b. 자기를 망각하고 하나님에게 전심함이 최고의 상태이다. c. 영혼이 변화 개조되어 하나님과 같이 되기 위해서는 정신의 능력이 정지.. 2021. 11. 3.
01 제정러시아 시대의 민중종교 http://irt.kr 국제개혁신학목회연구원 제정러시아 시대의 민중종교― 분파교 : 러시아인은 정교도인인가? 남 석 주 고려대 강사 I. 들어가는 말 슬라브애호주의자들은 역사의 원동력을 신앙으로 보았으며, 러시아 역사의 내적 동인이요 러시아의 정신으로 러시아 정교회를 상정하였다. 또한 이에 대립적 개념으로 서구의 정신을 카톨릭과 신교로 설정했다. 카톨릭을 자유 없는 통일의 정신으로, 신교를 통일 없는 자유의 정신으로 보았다면, 러시아 정교회를 통일과 자유의 양면성을 소유한 소보르노스찌로 보았다 소보르노스찌는 슬라브애호주의의 사상적 지주인 호먀코프에 의해서 만들어진 러시아 정교회사상이다.세르게이 불가코프는 ‘러시아 정교회는 소보르노스찌’(Православие-соборность) 라고 한마디로 표현하였다.. 2021. 1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