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교회사 5
한국 교회사 5 제9편 한국교회의 조직과 수난 장로교회의 조직 : 1901년 마펫은 김종섭, 방기창을 데리고 신학교육울 시작하여 장로회신학대학교의 효시가 되었다. 1915년에는 등록학생수가 250명을 넘었다. 1 907년 길선주, 방기창, 송인서, 한석진, 이기풍, 양전백, 서 경조 등 7명이 첫 졸업했다. 1907년 9월 평양 장대현교회에서창립노회를 개최하여 목사7명, 장로 53명, 교회988개, 세례교인 70,000명의 교회로 출발하였다. 1912년에 7노회로 총회가 창립되었는데 총회장은 언더우드, 부회장은 길선주 목사가 선출되어 한국장로교회는 세계교회의 일원이 되었다. 총회 창립후 중국 산동성에 김영훈, 사병순, 박태로 목사를 파송하였는데 크게 성공했다. 감리교회의 조직 : 1908년 정동교회에서 ..
2022. 6. 26.
한국 교회사 3
한국 교회사 3 제5편 선교부의 선교정책과 한국교회의 성장 네비 우스 선교정책 : 선교방법론에 탁월한 네비우스 선교사에 의해 세워진 원칙으로 선교사는 폭넓은 순회선교를 통해 전도하며, 성경이 모든 사역의 중심이 되어야 하며, 모든 예배단은 신자들 자신들의 힘으로 건축되어야 한다. 모든 신자들은 조직적인 성경공부를 해야 하며, 엄중한 훈련과 치리를 해야 한다. 적어도 지역을 분할하여 일한다. 보통 3자정책으로 부르는데 자치(自治), 자립(自立), 자전(自傳)이다. 선교지 분할 정책은 예양협정으로 북장로교회는 평안도, 황해도, 경기도, 경북을, 남장로교회는 전라도, 충청도를, 캐나다장로교회는 함경도지역을 담당하여 선교하기로 합의하였다. 초기 한국 교회 급성장의 원인 : 한국에는 강력한 국교가 없었고, 기독교..
2022. 6. 22.
종교개혁 492주년을 맞으면서... / 정성욱목사
10월 31일은 종교개혁 기념일입니다. 16세기 루터, 칼빈, 쯔빙글리, 멜랑히톤, 피터 마터 버밀리, 존 낙스, 부처, 불링거 등을 통하여 하나님께서 일으키신 종교개혁은 교회사에 있어서 가장 빛나는 사건들 중 하나였습니다. 우리는 보통 종교개혁하면 루터나 칼빈만을 생각하는데 사실 그 당시 루터와 칼빈과 더불어 종교개혁 운동에 참여했던 지도자들은 수십, 수백명이었으며, 그 운동에 동참했던 성도들은 수백만이었습니다. 무엇보다도 종교개혁은 교황이나 교회의 전통의 권위보다 더 높은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의 최고권을 회복하는 운동이었습니다. 그리고 예수 믿음만으로 구원을 못받는다는 카톨릭의 가르침에 대항하여 오직 예수, 오직 십자가, 오직 은혜, 오직 믿음이라는 구원론의 진리를 아름답게 회복한 운동이었습니다. 동..
2021. 11.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