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2과 교회의 사명(使命)
1.교회의 세 가지 의무(義務) 1) 오늘날 교회의 임무 곧 사명(使命)에 대해 많이 논의되어지고 있다. 전통적(傳統的)으로 이해되어 온 교회의 과업이 재 정의, 재 정립 되어져야 한다는 주장을 흔히 듣게 된다. 2) 종전에 교회가 해 오던 일들이 오늘의 세계에는 전적으로 적응(適應)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교회가 처한 시대적 상황이 교회의 사명을 결정해야 된다고 주장하게 되었다. 그러나 교회의 사명을 결정하는 것은 신구약(新舊約) 성경 말씀뿐이다. 3) 성경은 교회의 머리되신 그리스도께서 교회에 위임하신 바가 무엇임을 밝히 증거하고 있다. 십자가의 복음(福音)이 믿지 않는 자들에게 어리석게 보여지는 것은 사도 시대(使徒 時代)나 지금이나 크게 다를 바가 없다 (고전1:18). 성경은 교회의 삼중 임무를 지시하고 있다. 2.하나님께 예배 드리는 일 1) 하나님께 예배 드리는 것은 교회의 근본적(根本的) 의무이다. 교회 예배의 근본 목적(根本 目的)은 하나님께 영광 돌리는데 있다. 2) 이 종교(異宗敎)처럼 신을 달래어 화를 면하고 복을 받기 위해 신에게 무엇을 바치는 식의 예배는 기독교의 예배가 아니다. 3) 참된 기독교(基督敎)의 예배는 하나님의 약속을 믿는 것과 그의 뜻에 순종하는 것이다. 하나님의 창조와 보존의 섭리와 구속의 은혜를 알고 감사하는 것과, 하나님만이 나를 살리기도 하시고 복되게도 해 주실 수 있는 주권자(主權者)이심을 인정하고 그만 소망(所望)하고 의지하며 경외함으로 순종하는 것이 예배이다. 4) 그리스도인의 전 생활(全生活)이 마땅히 예배적(禮拜的)이어야 하나 모여서 단체로 드리는 예배가 바로 되어야 개인의 생활이 바로 되어질 수 있게 된다 ① 단체 예배의 요소로는 찬송, 기도, 성경 봉독, 설교, 헌금 등이 있다. ② 개혁 교회의 예배의 중심은 하나님의 말씀이다. ③ 예배의 질서를 위해 의식이 필요하나 의식이 신령(神靈)과 진정(眞情)의 대용이 되지 않도록 주의를 요한다. ④ 심정 없는 의식, 의식 없는 무질서는 둘 다 바람직하지 못한 것이다. ⑤ 외식에 대한 경고는 옛날 바리새인들에게만 필요한 것이 아니라 오늘날 우리에게도 필요하다 (사1:11, 사29:13, 마21:31, 마23:23, 마6:6-8). ⑥ 구속받은 성도들이 함께 모여 하나님께 예배하는 단체예배에 빠지지 않고 참석하는 것이 신앙생활(信仰生活)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단체예배를 통하여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고 새 은혜를 입게 될 때에 자기의 인격(人格)과 삶이 성화(聖化)되어 갈 수 있게 된다. 성도들이 함께 모인 곳에 성령의 은혜가 더욱 풍성하였음을 기억해야 한다. ⑧ 개인 기도와 가정 예배를 계속해야 한다. 가정 예배를 통해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게 되며 가족들의 성화와, 화평을 도모하게 되고, 이웃에게 복음을 전하게 된다. 3.그리스도의 몸을 세우는 일 1) 그리스도께서 그의 몸 된 교회(敎會)에 여러 가지 직분을(職分) 주신 것은 "성도를 온전케 하며 봉사의 일을 하게 하며 그리스도의 몸을 세우려 하심이라"고하셨다.(엡4:11-13) 2) 예배와, 성경공부, 기도회 등 교회의 각종 행사는 모든 성도들이 받은 바 신령한 은사를 서로 나눔으로 그리스도 안에서 신앙 인격과 행위의 온전을 이루어 가는 일에 서로 협력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3) 교회는 성도들을 하나님과 가깝게 하고, 진리를 알게 하고, 깨끗하게 하며, 화평을 도모하는 일을 힘써야 한다. 4) 무엇보다도 교인들 각자가 신앙의 모본을 보임으로 성도를 온전케 하며 봉사의 일을 하게 하는 일에 주력해야 한다. 5) 형제를 실족시킨 자의 받게 될 화가 심히 클 것과(마18:6-10), 형제의 구원을 협조한 자의 받을 칭찬과 영광이 심히 클 것을 말씀하셨다.(마25:31-46) 6) 하나님을 사랑하는 자는 하나님께 속한 자들을 사랑하게 된다. 하나님의 자녀 사랑하는 것은 하나님을 사랑하고 그의 계명을 지킴으로 덕을 세우는 것이다.(요일5:1-3) 4.세상에 복음을 전하는 일 1) 교회는 하나님의 구속의 은총을 전하기 위해 세상에 존재한다(마28:19). ① 복음 전도는 교회의 본질적 임무이다. 그리스도의 지상 명령이 이것을 말해 주고 있다(행1:8) {불은 연소에 의해 존재함같이 교회는 선교에 의해 존재한다.}(에밀브룬너) ② 교회가 세상에서 해야 할 일이 여러 가지가 있으나 구원의 복음을 선포하는 일이 가장 우선해야 할 중대하고 긴급한 의무이다. ③ 국내 전도와 함께 해외 선교(宣敎)도 힘써야 한다. ④ 전도에 있어서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모든 교인들의 개인 전도(個人 傳道)에 의한 개교회의 성장이다. 2) 교회가 성령과 하나님의 말씀(성경)에 의해 새롭게 됨으로 세상의 빛과 소금이 되는 일은 교회의 세상에 대한 임무 중에 제일 중요한 과업이다. 교회가 세상에 대해 할 일이 많다. 사회 정의 구현, 인권 옹호, 자선 사업, 교육 및 의료 사업을 통한 사회 봉사 활동도 해야 한다. 그러나 교회의 제일 중요한 임무는 일반 은총 영역에 속한 문화적(文化的)인 사명 수행에 있지 않고 구속 은총(특수 은총)의 전달 곧 전도적 임무에 있다. 3) 세상을 하나님과 화목케 하는 전도적 사명은 교회에게만 위임된 일이요, 또 인간의 영생과 영멸에 직결된 일이기 때문이다. 교회의 삼중 임무의 근본적인 목적은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데 있다. 1. 교회의 삼중 임무를 말하시오. 2. 참된 예배는 어떤 것입니까? 3. 그리스도의 몸을 세우는 일은 무엇입니까? 4. 전도해야 할 이유를 말하시오. |
'〓주제별 신학 연구[900편]〓 > 개혁 신학 교리1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44과 은혜의 방편(方便)(2) (0) | 2022.04.22 |
---|---|
제43과 은혜의 방편(方便)(1) (0) | 2022.04.22 |
제41과 교회의 직분(職分) (0) | 2022.04.22 |
제40과 교회의 조직(組織)과 정치(政治) (0) | 2022.04.22 |
제39과 거룩한 교회(敎會)(2) (0) | 2022.04.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