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제별 신학 연구[900편]〓/개혁 신학 교리11

제40과 교회의 조직(組織)과 정치(政治)

by 【고동엽】 2022. 4. 22.
제40과 교회의 조직(組織)과 정치(政治)



1.교회의 조직
하나님의 교회는 하나님에 의해 세워진 역사상 가장 오래된 단체이다.
1-1  조직
1) 구약 교회는 에덴 동산에서부터 세워졌고, 가족, 부족, 국가교회의 형식을 취해 왔다.
2) 신약 교회는 예수님의 초림 후에 세워졌다. 일찍이 예루살렘 교회에도 단순한 조직이 있었으며(행2:41-46, 행6:1-7), 다른 지방 개 교회도 허술하기는 하나 조직이 있었다.(행14:23, 행20:17, 빌1:1)
3) 교회는 조직이 필요하나 조직에 의해 존재하는 외형적 단체가 아니다. 교회는 그리스도 안에서 성도가 서로 교통하는 생명적 단체이다. 그리스도는 교회의 머리시다.
4) 신약 교회는
① 예수께서 제자들을 모아 훈련하시며 전도, 봉사, 권징(勸懲)의 원리들을 말씀하셨고 성례전을 제정해 주심으로 교회 조직이 싹트게 되었으나(요13:29, 마26:26-29),
② 오순절 성령 강림 후 교회가 성장하면서 조직의 윤곽이 뚜렷이 드러나게 되었다.
③ 교회가 처음에는 조직보다 교훈에 더 주력하였다. 초대 교회의 조직에 관한 성경의 증언은 사도행전과 바울 서신에서 발견되어진다.
④ 사도 바울도 교회의 조직보다 교훈에 주력했다. 그러나 그가 말년에 교회의 질서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살전5:12,13, 고전12:28, 롬12:6-8, 빌1:1, 엡4:11, 딤전3:1-2).
1-2 정치(政治)
어떤 단체를 유지 발전시키는데 적절한 조직과 정치가 필요하듯이 교회의 성장 발전에도 조직과 정치가 필요한 것이다. 
1) 교회 정치(政治)는 교회의 사역을 방해받지 않고 적절(適切)하고 질서(秩序)있게 유지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성경에 교회의 정치에 관한 일반적(一般的)인 원리(原理)는 나타나 있지만 세부적(細部的) 사항까지 지시(指示)되어 있지 않다. 현존하는 어떤 교파의 정치도 초대(初代) 교회의 정치와 동일(同一)한 것은 하나도 없다.
3) 초대 교회에 이미 예배와, 친교와, 권징과, 사업을 위한 규율이 정해져 있음을 성경에서 발견할 수 있다(행6:1-6, 고전14:34, 고전5:13, 고전16:1-2, 고후9:7, 고후8:1-9, 롬15:25-28, 행15:22-29).
① 교회의 회집(행20:7, 히10:25),
② 직원들의 선거(행1:23-26, 행6:5-6),
③ 직원들의 명칭(빌1:1, 행20:17,28),
④ 권징(고전5:4,5,13),
⑤ 연보(롬15:26, 고전16:1-2),
⑥ 과부들의 등록(딤전5:9),
⑦ 공통한 규례(고전11:16),
⑧ 성례의 법도(행2:4, 고전11:23-26)등이 있었다.
2.교회의 정치 체제(政治體制)
역사상 교회가 취한 정치체제는  여러 가지 형태가 있으나 크게 나누면 세 가지가 있으니 감독 정체(監督 政體), 장로 정체(長老 政體), 회중 정체(會衆 政體)이다.
1) 감독 정체
   교회의 머리되신 그리스도가 교회의 정치를 사도(使徒)들의 계승자(繼承者)인 감독들에게 위임하였다는 {사도적 계승}이 이 제도의 기초적(基礎的) 원리이다.
① 이 정체에 있어서는 성직자들의 서열이 중시 되어 진다.
② 천주교, 성공회, 감리교 등의 성직 제도는 감독 정체를 따른 것이라 할 수 있다.
2) 장로회 정체
   대의정치(代議政治)를 위주로 하는 교회 정체(敎會 政體)이다. 이 정체에서 권위는 신도들이 선거한 대표자(代表者)들 곧 목사(牧師)와 장로(長老)들에게 있다.
① 목사와 평신도인 장로의 평등이 중시된다 ( 그리스도 안에서 지체 의식이 강하게 작용하며, 그리스도께서 {인자가 온 것은 섬김을 받으려 함이 아니라 도리어 섬기려 하고 자기 목숨을 많은 사람의 대속물로 주려 함이니라}(마20:28, 막10:45) 하신 말씀처럼 서로 사랑으로 봉사와 희생을 해야 한다 ).
② 장로교가 이 제도를 따르고 있다.
3) 회중 정체
   독립파(獨立派)의 제도라고 불리워지기도 한다. 이 제도에 의하면 개 교회는 상호 독립한 충분한 정치권을 가진 완전한 교회이다. 장로회 제도에서처럼 교직자들의 동일 서열을 인정하나 권위는 선택된 대표자들에게 있지 않고 신도들의 직접 결의에 있다.
① 교직자(敎職者)들은 교회의 회원으로서의 정치권(政治權)만 가진 교회 사무의 집행자(執行者)들이다.
② 이 제도에서는 교회의 정치권은 교회의 회원(會員)들에게만 있다.
③ 침례교회(浸禮敎會)와 회중교회(會衆敎會)등이 이 제도를 따르고 있다.
3.교회 정치의 권위(權威)의 원천(源泉)
1) 개혁파(또는 장로회) 교회는 다음과 같은 교회 정치의 근본원리(根本原理)를 가지고 있다.
첫째, 그리스도는 교회의 머리요. 모든 권위의 원천(源泉)이시다.
둘째, 그리스도는 성경(聖經) 말씀과 그의 영으로 권위를 행사하신다. 
셋째, 왕이신 그리스도는 교회에게 권세(權勢)를 부여(賦與)하신다.
넷째, 다스리는 권세는 기본적(基本的)으로 지 교회에 있다.
2) 개혁 교회와 장로 교회에서만 이와 같은 근본원리(根本 原理)를 가진 것은 아니다.
① 감독 제도와 회중 제도에서도 이와 같은 근본 원리를 가지고 있다.
② 어느 것 하나라도 교회 정치 제도로서 완전(完全)한 것이 없다.
③ 오늘날 감독 제도를 따르는 교회의 회의에 평신도(平信徒) 대표(代表)들이 참석하고 있으며, 회중 제도를 따르는 개 교회 대표자(代表者)들이 지방 및 전국 협의회(協議會)를 구성하여 대의정치(代議政治)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④ 장로회 제도를 따르는 장로 교회도 감독 제도와 회중 제도의 편익들을 취하고 있음이 사실이다.
⑤ 교회의 정치적 성격은 군주주의 성격과 민주주의 성격을 다 가진다.
   왕이신 그리스도에게 절대 복종해야 하며 그리스도 안에서 그의 뜻에 피차 복종해야 하기 때문이다.
3) 교회 정치는 수단이지 목적은 아니다.
① 교회 정치의 세부적(細部的)인 면(面)의 차이 때문에 교회가 분열되는 것이 과연 성경적인지 반성해 볼 필요가 있다.
② 다스림의 기술(技術)보다 교회의 머리되신 그리스도를 사랑함으로 그의 몸을 사랑하는 사랑이 중요한 것이다.
③ 자기 교회의 정체가 이상적(理想的)이며 우수하다고 자랑할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의 말씀의 권위에 순종(順從)하는 공의(公義)와 자비(慈悲)와 신앙(信仰)의 문제에 더욱 전념(專念) 해야만 한다.
④ 교회의 지도자(指導者)들이 성령의 지혜와 사랑과 권능으로 충만(充滿)되어 있는 한 어떤 정치제도도 좋으나 비신앙적(非信仰的)이 될 때에는 어떤 정체도 미흡(未洽)한 것이 되고 말 것이다.
4) 너무 많은 정치는 폭군(暴君)으로 나아가게 되고 반면에 너무 적은 정치는 무정부(無政府) 상태(狀態)로 나아가게 한다. 양 극단(兩極端)을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회의 다스림은 인간들의 독립적(獨立的) 권세에 의해서가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과 그의 영의 사역(事役)에 복종(服從)함으로 해야 한다. 그러므로 {그리스도를 경외함으로 피차 복종하라}고 하셨다.(엡5:21)

1. 교회의 조직이 언제부터 시작되었습니까?
2. 교회 정치 체제의 삼대 전형을 말하시오.
3 .장로 교회 정치의 근본 원리는 무엇입니까?

출처 :    https://cafe.daum.net/kmc4755/AT6P/7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