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9과 거룩한 교회(敎會)(2)
1.하나님의 교회(敎會)
1) 하나님의 교회 는 성경(聖經)의 핵심부에 들어 있는 주제이다.
2) 교회는 창세 전에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 구속(救贖) 은총(恩寵)의 대상으로 택함을 받았으며(엡1:4) 그리스도의 피로 구속받은 하나님의 백성이다(엡1:7, 엡5:25, 행20:28).
3) 성령께서 복음(福音)을 통하여 흑암(黑暗)에서 하나님의 놀라운 생명의 빛 가운데로 불러내어 하나님께 속하여 그만 섬기는 백성으로 만든 것이 교회이다(벧전2:9).
4) 하나님은 교회를 통하여 구속적(救贖的) 사랑과 지혜와 능력을 영계(靈界)의 모든 천군 천사들에게 알리신다 (엡3:10).
5) 땅끝까지 그리스도께서 성취(成就)하신 대속의 기쁜 소식을 증거하도록 위임(委任) 받은 것도 교회이다 (마28:19, 고후5:19).
6) 하나님은 교회(敎會)를 통하여 만물(萬物) 안에서 만물을 충만(充滿)케 하신다 (엡1:23).
7) 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이요, 모든 그리스도인들이 이 한 몸에 속하여 은혜를 입어 성장(成長)하게 되며 봉사(奉仕)의 일을 하게 된다 (엡4:11-16, 고전12:27-31, 롬12:5-8).
8) 교회의 설립(設立), 보전(保全), 갱신(更新), 성장(成長)은 전적 하나님의 은혜의 역사이다.
9) 그러므로 교회를 알지 못하고는 하나님의 목적(目的), 예수 그리스도의 대속(代贖), 세계사(世界史)의 의미(意味), 성령의 역사(役事), 하나님의 나라를 올바르게 이해할 수 없다.
2.신약 교회
1) 신약 교회는 구약 이스라엘의 역사적 연속(連續)이므로 {새 이스라엘} 또는 {영적 이스라엘}이라 불려 진다.
2) 바울은 역사상의 교회를 단 하나의 감람나무로 묘사하고 있다.
3) 이스라엘 백성 중 많은 사람들이 불 신앙(不信仰)으로 인해 이 참 감람나무에서 절단(絶斷)되어 지고, 그 자리에 돌 감람나무인 이방인들이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말미암아 접붙임이 되어 {아브라함의 후손}, {하나님의 이스라엘}이 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갈3:29, 롬4:11-18, 갈6:16).
4) 성경적 교회론(敎會論)의 근본 사상(根本思想)은 하나님의 계약(契約)의 백성으로서의 교회에 대한 사상이다.
5) 하나님께서 아브라함과 맺은 계약이 최초(最初)의 계약은 아니지만 신.구약에 있어서 기초(基礎)가 될 만한 것이다. 그 계약은 모든 세대(世代)를 통한 아브라함의 후손(後孫)들에게 까지 미치는 것이다 (창17:7).
6) 아브라함의 후손(後孫)에게 가나안 땅을 주시기로 계약하신 그 안에는 애굽에서의 구속(창15:13-21, 출2:24)까지 내포(內包)하고 있다.
7) 계약의 목적은
① {나는 너희 하나님이 되고 너희는 나의 백성이 되리라}는 말 속에 잘 나타나고 있다 (출29:45, 레26:12, 렘31:33, 고후6:16, 계21:3).
② 하나님의 백성(百姓)들이 하나님을 알고 {그 앞에서 행하도록} 하려는 것이다 (창17:1).
8) 이 계약은 할례(割禮)를 징표(徵表)로 삼아 확증(確證)되었다. 후에 모세를 통하여 율법을 주셨고(속죄를 위한 피의 제사 및 절기 등) 예언자들을 통하여 메시아가 오셔서 실현할 영광(榮光)스러운 소망(所望)에 대해 거듭거듭 말씀해 주셨다.
9) 구속받은 하나님의 계약의 백성으로서 교회에 관한 기본적인 개념이 구약에 밝히 나타나고 있다. 구속받은 백성은 하나님의 것으로 그가 계시하신 뜻에 따라 하나님을 섬기며, 장차 올 메시아 왕국의 영광을 바라보고 있었다.
3.구약적 개념과 신약적 개념
1) 그리스도께서 오셨을 때 이 구약(舊約)의 개념(槪念)은 폐하여 지지 아니하고 온전(穩全)케 되어 졌다 (마5:17).
2) 그리스도는 {옛 계약}과 그의 피로 세우신 {새 계약}을 잇는 줄이 되셨다 (히8:10, 렘31:31-34).
3) 신약은 그리스도를 참 이스라엘, 또 아브라함의 후손으로 묘사하고 있다 (마2:15, 갈3:8-29).
4) 모형적(模型的) 제사제도의 실상(實狀)인 그리스도의 대속의 죽음을 통하여 믿는 유대인과 믿은 이방인들이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 백성(百姓)이 되었다.
5) 신약에서 할례(割禮)에 상당하는 세례(洗禮)는 그리스도와 함께 죽고, 그와 함께 영원한 생명으로 다시 살아나 그와 연합(聯合)한다는 것을 일차적(一次的)으로 말해 주고 있다 (롬6:3이하, 갈3:27이하, 골2:11이하).
① 그리하여 신약 교회도 아브라함을 신앙(信仰)의 조상(祖上)으로(롬4:11,16), 구약(舊約)을 성경(聖經)으로 가지게 되었다(롬15:4).
② 신약에서 교회를 묘사(描寫)할 때에 구약적(舊約的)으로 표현하고 있다 (벧전2:9이하, 출19:5이하, 호세아2:23을 참조할 것).
③ 그러나 교회에 관한 신약적 개념은 하나님의 계약의 백성이라는 사상(思想)에 {그리스도의 몸}이라는 사상을 더 추가하고 있다.
④ 죄와 허물로 죽었던 자들이 그리스도 안에서 사죄, 칭의, 영원한 생명을 받아 그리스도와 연합된 몸이며, 그의 신부로 묘사되고 있다.
⑤ 또한 그리스도와 연합하게 하시며 그 안에서 자라가며 그의 지체로서 봉사의 일을 하게 하시는 성령의 전으로 언급되고 있다(고후5:17, 엡2:1이하, 롬8:9-14, 엡2:21, 엡5:25, 계19:7, 롬12장, 고전12장, 골1:18)
6) 교회의 모든 구성원(構成員)은 그리스도께서 받은 은사를 따라 봉사함으로 한 몸의 유익을 도모해야 하며(엡4:11)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그리스도의 사역을 잘 수행해야 한다.
7) 교회의 일군들은 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이요, 자기는 이 몸에 속한 이 몸을 위한 한 지체일 뿐이라는 사실을 잊지 않아야 한다.
8) 성경은 하나의 보편적 교회나, 지방적 교회들이나, 어떤 그리스도인 가정에서 모이는 가정 교회를 다 하나님의 교회로 말하고 있다. 그 이유는 이 모두가 다 그리스도의 한 몸에 속한 하나의 교회이기 때문이다.
9) 여러 시대, 여러 지역, 여러 교파에 속한 교회들이 한 그리스도, 한 성령, 한 믿음, 한 소망을 가짐으로 보이지 않는 면에 있어서 이미 통일성이 주어져 있다 (엡4:4).
10)진정한 교회 연합 운동은 교파적인 합동을 모색함으로 교회의 가견적 통일성을 만들어 내는 것이 아니라 이미 성령의 하나 되게 하신 것을 인식하고 그것을 지역적 및 세계적 수준에서 선교적 관심을 가지고 적절(適切)하게 그리고 유효하게 표현하는 일이다(요17:21).
11)교회는 하나님의 목적 안에서 영광스러운 존재요. 세상을 밝힐 빛으로 존재하는 것이다. 그러나 교회가 빛 그 자체는 아니다. 빛되신 그리스도를 신앙하고 증거하는 유일한 공동체이다.
12)땅 위에서는 교회가 이리 떼 속에 들어 있는 적은 양떼 같은 실정(實定)이지만 하늘과 땅의 모든 권세를 가지신 그리스도께서 {세상 끝 날까지 항상 함께 계실 것과} {음부의 권세가 이기지 못하리라.}는 약속 때문에 아무 것도 두려워할 것이 없다(마28:18-20, 마16:18).
1. 성경은 교회에 관하여 어떻게 말합니까?
2. 구약 교회와 신약 교회의 관계를 설명하시오.
3. 교회에 관하여 이해하는 대로 기록해 보시오.
'〓주제별 신학 연구[900편]〓 > 개혁 신학 교리1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41과 교회의 직분(職分) (0) | 2022.04.22 |
---|---|
제40과 교회의 조직(組織)과 정치(政治) (0) | 2022.04.22 |
제38과 거룩한 교회(敎會)(1) (0) | 2022.04.22 |
제37과 영화(榮化) (0) | 2022.04.22 |
제36과 성도(聖徒)의 견인(堅忍) (0) | 2022.04.22 |
댓글